원문정보
A Study of the Art Museum as a Space for Civic Engagement in the Local Communit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art museums as a space for civic engagement in the community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education and participation programs of art museums, which are a platform and cultural intermediaries room connecting art, the public, and the local community.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study of the cases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the Daegu art museum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the non-face-to-face viewing service has the effects of expanding the base, immersing in art, raising awareness, and lowering the barrier to cultural and artistic enjoying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condly, as a cultural arts education specialized institution by life cycle, multifarious educational contents are being developed in addition to exhibition-linked education. Third, there is a need for increased education budgets and culture intermediaries to stabilize education programs. Content should be developed and managed through a systematic and professional analysis of the target educational audie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resented the role of the regional art museum.
한국어
예술의 사회적 효과 확대를 위해 국가는 문화시설 확충 및 기존 공간 재창조 등 일상 속에서 문화예술 몰입이 가능한 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다. 미술관은 근현대 문화유산 을 보유하고 있는 공간이자 평생교육기관으로서도 역할하고 있다. 미술관의 교육은 원 작을 바탕으로 경험의 감동을 극대화하고 반복되는 경험을 통해 사회적 개입 및 시민 참여 정신 함양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예술과 대중,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플랫폼이자 문화매개 공간인 미술관의 교육 및 참여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앞으로 지역사회 시민참 여 공간으로서 미술관의 역할을 모색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국립현대미술관과 대구미 술관의 사례 비교 연구 결과 첫째, 비대면 관람 서비스 개발은 저변확대, 예술 몰입, 인 식 제고 등의 효과가 있고 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 장벽을 낮춰줬다. 둘째,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전문기관으로 전시연계교육 외 다양한 교육콘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셋째, 교육프로그램 안정화를 위해서 교육예산 증액 및 문화매개자가 필요하다. 교육 대상자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분석을 통해 콘텐츠 개발 및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미술관이 지향해야 할 역할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문화매개(자) 개념 및 연구 동향
2. 참여공간으로서 미술관 현황
3.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정의
Ⅲ.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기관 선정 및 자료수집
2. 분석 틀
Ⅳ. 연구 결과
1. 국립현대미술관 운영 및 교육프로그램 분석
2. 대구미술관 운영 및 교육프로그램 분석
3. 운영기관별 프로그램 비교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