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의 그릿, Good Job 인식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대만 대학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Effect of College Students’ Grit and Good Job Percep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r - Focused on Korean and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

이주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grit and good job perceptions of Korean and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affect their job preparation behavior.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12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218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followed by difference verification,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adjusted mediation mode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ll variables of grit, good job perception,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for both Korean and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Second, in terms of good job perception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ird, both Korean and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good job percep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Fourth,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country was not significant in the path leading to the job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e recognition of Good Job as a mediu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Good Job, which is one of the valuable aspects among various factors that affect job preparation behavior, which is an important task of the young generation, it is more practically effective, including the psychosocial context for career and job preparation. It will be able to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policies and services.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과 대만 대학생의 그릿과 Good Job 인식이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생 312명과 대만 대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차이검증, 매개효과분석 및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 대학생과 대만 대학생 모두 그릿, Good Job 인식 및 취업준비행동의 모든 변인이 서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Good Job 인식과 취 업준비행동에서 대만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과 대만 대학생 모두 그릿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Good Job 인식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릿이 Good Job 인식을 매개로 취업준비행동에 이르 는 경로에서 국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년 세대의 중요한 과업인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 가치적인 측면의 하나인 Good Job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진로 및 취업 준비를 위한 심리사회적인 맥락 등을 포함한 보다 실질적으로 실효성 높은 관련 정책 및 서비스 수립 등에 다각적인 시 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
2. 그릿
3. Good Job 인식
4. 대학생의 그릿, Good Job 인식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국가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상관 및 기술통계
2. 국가에 따른 그릿, Good Job 인식 및 취업준비행동의 차이
3. 그릿과 Good Job 인식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국가의 조절된 매개효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주희 Lee Ju Hee. 단독저자, 동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