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창극집』 및 『조선민족음악전집(초고)』 수록작 비교로 본 1950년대 북한 창극 <춘향전>의 양상

원문정보

The aspects of North Korean changgeuk Chunhyangjeon in the 1950s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Chosun Changgeukjip and the Chosun National Music Collection(draft)

송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examines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changgeuk in the 1950s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osun Changgeukjip Chunhyangjeon (Act 6, Chapter 7) in the form of plays and the new Chosun National Music Collection (Changgeuk and National Song) 1: Changgeuk Chunhyangjeon (Act 6, Chapter 12).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staged in North Korea around the 1950s under the name of Changgeuk,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Kim A-bu's adaptation and Jo Woon (Cho Woon and Park Tae-won)'s adaptation, of which the former was considered livelier. Chosun Changgeukjip is a kind of Changgeuk collection of plays published in 1955. Of these, Chunhyangjeon premiered in December 1954 and received excellent reviews. Chosun National Music Collection (Changeuk and National Song) 1: Changgeuk Chunhyeon is a series of music publications with a total of 30 planned volumes. Chunhyangjeon was included in this series as a performance book in the late 1950s. It can be argued that the North Korean changgeuk Chunhyangjeon was influenced by the Chosun National Music Collection (draft) from Chosun Changgeukjip.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versions, it can be argu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North Korean Changgeuk Chunhyangjeon in the 1950s was largely a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 of the Changgeuk or Women's Gukgeuk Chunhyangjeon shared by the two Koreas before the division. North Korean classical musicians, including Cho Sang-seon, surely played an important role. However, there was a clear coexistence of the two traditions, with the progression and regression of certain aspects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flow of the existing narrative. Among them, the musical aspect of Changgeuk Chunhyangjeon showed significant development, with the inclusion of additional organization of instrumental and folk songs, and the diversification of singing methods. In contrast, the literary aspect of Changgeuk Chunhyangjeon suffered, with the regrettable truncating of the overall narrative without any clear intention or thoughtful intervention. However, as is evident from the insertion of a new scene that emphasize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azalea through the dialogue between Chunhyang and Hyangdan, there was a clear transitional aspect in the North Korean opera Chunhyangjeon during this period. Considering the brief lyrics, the purpose must have been to emphasize the musical atmosphere rather than the literary theme, although the inclusion of additional folk songs also carries considerable literary significance.

한국어

본 논문은 희곡 형태로 된 『조선창극집』 수록 대본 <춘향전>(6막 7장)과 악보 형태로 된 신자료 『조선민족음악전집(창극 및 민족가극편)1: 창극 <춘향전>(초고)』 수록 <춘향전>(6막 12장)을 대상으로 1950년대 북한 창극 <춘향전>의 정립 양상을 고찰한 연구이다. 북한이 1950년대를 전후하여 ‘창극’이라는 이름으로 무대에 올린 <춘향전> 공연 대본은 김아부 각색작과 조운(조운․박태원) 각색작의 두 계열로 나뉘며, 이중 더 활발히 공연된 것은 본 논의 대상이기도 한 전자이다. 『조선창극집』은 1955년에 간행된 일종의 창극 대본 자료집으로, 여기 수록된 <춘향전>은 1954년 12월에 초연되어 작품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조선민족음악전집(창극 및 민족가극편)1: 창극 <춘향전>(초고)』는 총 30권으로 기획된 시리즈 악보 출판물로, 여기 수록된 <춘향전>은 1950년대 후반 공연본이다. 시기상 북한 창극 <춘향전>의 정립은 『조선창극집』→『조선민족음악전집(초고)』의 순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두 본의 비교 결과, 1950년대 북한 창극 <춘향전>의 정립은 어떤 급진적인 변화를 모색하기보다는 분단 이전 남북이 공유했던 창극 또는 여성국극 <춘향전>의 결을 대체로 유지하는 선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여기에는 조상선을 비롯한 월북국악인들의 역할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기존 결의 유지라는 전반적인 큰 흐름을 형성하는 내부의 구체적 흐름을 들여다보면, 확장과 축약이라는 두 방향성의 공존이 뚜렷하게 확인된다. 이중 확장의 방향성을 보여준 부분은 창극 <춘향전>의 음악적 측면으로, 기악곡과 민요의 추가 편성, 가창 방식의 다양화가 이를 추동했다. 다음 축약의 방향성을 보여준 부분은 창극 <춘향전>의 문학적 측면으로, 이 과정에서 특수한 의도나 의식의 개입 없이 인물 형상화 양상 전반이 축약되어간 점은 적지 않은 아쉬움을 남긴다. 그러나 춘향과 향단의 대화를 통해 진달래의 상징적 의미를 강조하는 장면을 새로 삽입한 데서 볼 수 있듯, 이 시기 북한 창극 <춘향전>에는 1960년대 민족가극으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면모도 분명히 존재했다. 사설이 간략한 것으로 볼 때 문학적 주제보다는 음악적 분위기의 연출에 목적을 둔 구성이었겠으나, 민요의 추가 편성도 문학적 측면에서도 일정한 의미를 부여할 만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조선창극집』과 『조선민족음악전집(초고)』의 자료적 특징
Ⅲ. 1950년대 북한 창극 <춘향전>의 정립 : 『조선창극집』과 『조선민족음악전집(초고)』 수록작 간비교를 중심으로
Ⅳ. 1950년대 북한 창극 <춘향전> 정립에 나타난 방향성
V.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미경 Song, Mi-kyoung. 한국항공대학교 인문자연학부 교육중점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