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사전류 ‘북’ 관련 항목 현황 진단 및 소견

원문정보

Diagnosis and Opinion on the Status of Items Related to the Dictionary ‘DRUM(‘buk’)

송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the current status of drum(‘buk’) items included in th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Encyclopedia of Korean Folk Culture, Encyclopedia of Korean Music , which can also be viewed online, and estimating their direction. The system and contents of each item were analyzed by extracting 158 items registered in three types of dictionary: category, definition, name, form, structure, playing method, performance, performer, material, and production of drum. For the accuracy and explanation of information, the consistency, balance, and efficiency of the applied standards were reviewed, and some opin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First, among the 158 titles, the proportion of terms related to name, performance, and performance theme was high, while the proportion of titles related to the shape, structure, material, and production of the drum was significantly low. A balanced item placement is required to meet the key factors applied to the instrument item description.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categories and definitions of the drums according to the dictionary, and the wide field of view covering the entire drum and restrictions on the categories of drums to be recorded in advance were insufficient. As a result, there are not many errors in the content, so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cope and limit in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drum. Third, as various nicknames of drums handed down from civilians among the names of names were registered as headwords without filtration, overlapping meanings or confusion could not be avoided. For example, there are drums with the same name but different shapes, and there are drums with the different shape and same names. In addition, there are many types of drums with similar pronunciation, and more complex names are created when drum names are connected to performers and performers, so systematic arrangement of these problems is urgent. Fourth, as for the shape of the drum, there are attempts to suggest differences in the shape according to the court, folk song, and genre, but the classification of the shap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drum should be approached in a delicate way considering the background and perspective of its transmission. Fifth, in the case of folk drums, there are many names depending on the region. In addition, when this term is combined with performers and performers, expandability increases, and various pseudonyms are reported in the field research process. In the three dictionaries, the notation of the field report was registered as a heading without filtering, so duplication and confusion could not be avoided. Therefore, in the related items of the music dictionaries to be planned in the future, categories and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of systems and types based on them, should be preceded. The types of drums are 1)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sonance boxes(barrel type, hourglass type, frame type), 2)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nail drum, string drum, wedge drum), 3)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playing method (tapping type) / shaking type), and with regard to performance, 1) whether to use a frame or string necessary for performance, 2) whether to use a stick and hand, Relevance to performance (dance/play/ensemble/accompaniment/specific playing method) needs to be expanded to areas other than folklore to resolve the information imbalance.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 raised in this thesis will lead to a follow-up study that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drum-related items in the future music dictionary.

한국어

본고는 현재 온라인상에서도 제공되어 활용도가 높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속종합대사전』, 『한겨레음악대사전』의 북 항목의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의 연구 방향성을 가늠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북의 범주와 정의 및 명칭, 형태, 구조, 주법, 연행, 연행주체, 재료, 제작의 관점에서 세 종류 사전에 등재된 158개의 표제어를 추출하고, 각 항목의 체계와 내용을 정보의 정확성, 기술에 적용된 기준의 일관성과 균형, 효율성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몇 가지 소견을 제시하였다. 첫째, 158개의 표제어 중 명칭과 연행, 연행주체와 관련된 용어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북의 형태와 구조, 재료와 제작에 관한 표제어의 비중은 현저히 낮게 조사되었다. 악기 항목 기술에 적용되는 핵심 요소를 충족시킬 수 있는 균형 잡힌 항목 안배가 필요하다. 둘째, 사전별 북의 범주와 정의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고, 북 전체를 아우르는 광의의 관점과 사전에서 집필하고자 하는 북의 범주 한정이 미진하였다. 이에 따라 내용상의 오류도 적지 않았으므로, 북의 사전적 정의에서 범위와 한정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명칭 항목 중 민간에서 전승된 북의 다양한 이칭들이 여과없이 표제어로 등재됨에 따라 의미 중복 혹은 혼란을 피하지 못하였다. 예를들면 동일한 이름을 사용하지만 형태가 다른 ‘동명이형(同名異形)의 북(예: 궁중 북 소고와 농악용 소고)’과 형태는 다르고, 명칭이 같은 ‘이형동명(異形同名)의 북(예: 사찰의 법고와 농악용 법고와 다양한 이칭들), 유사 명칭의 문제, 북의 다양한 연행형태와 연행 주체와 관련된 다양한 지역 용어들의 체계적 정리가 시급하다. 넷째, 북의 형태와 관련하여, 궁중과 민간, 혹은 장르별 용도에 따라 형태의 차이점을 제시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북의 형태 분류와 용도와의 관계는 전승배경과 시점 등을 고려한 섬세한 접근이 요구된다. 다섯째, 북의 형태와 관련하여, 궁중과 민간, 혹은 장르별 용도에 따라 형태의 차이점을 제시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북의 형태 분류와 용도와의 관계는 전승배경과 시점 등을 고려한 섬세한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향후 기획되는 사전류의 북 항목에서는 북의 범주와 정의, 이에 기반을 둔 북 계통과 형태의 분류 체계 수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북의 유형은 1)공명통의 형태에 따른 분류(배럴형․모래시계형․프레임형), 2)제작방식에 따른 분류(못북․줄북․쐐기북), 3)연주 방식에 따른 분류(두드리는 형/흔드는 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을 것이며, 연주와 관련해서는 1)연주에 필요한 틀이나 끈의 사용여부, 2) 채와 손의 사용여부가 고려되어야 하고, 연행과의 관련성(춤/놀이/합주/반주/특정 주법)은 민속관련 외의 영역으로 범위를 넓혀 정보의 불균형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 제기한 논의가 향후에 기획되는 사전류의 북 항목 체계정립과 기술에 일조할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목차

<국문요약>
Ⅰ. 문제제기
Ⅱ. 사전류 ‘북’ 관련 항목 현황 진단
Ⅲ. 사전류 북 항목 검토 소견
Abstract

저자정보

  • 송혜진 Song, Hye-jin. 숙명여대 문화예술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