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김귀봉 피리시나위의 음악만들기 방식 -<넋풀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Music-Making of Kim Gwi-bong’s Piri Sinawi -Focusing on His “Neokpuri” Performance-

서정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 shamanic music builds upon a basic melody, on which variations are improvised by the shaman and the accompaniment musicians. This paper delves into how such basic melodies are established and progress toward variations by analyzing the piri(double-reed bamboo oboe) solo in “Neokpuri” (Consolating the Dead), a sinawi (improvisatory shamanic music) piece played by Kim Gwi-bong, a master musician in the Jeolla region. To begin with, as part of the accompaniment to a shamanic song, the piri solo mostly creates polyphony with the shamanic vocal as their melodies match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music but progress distinctly in between. As such, the piri solo is basically not melodically related to the shamanic song, while maintaining relatively independent melodies within the yukjabaegitori (lit, “six-beat songs”) format and the overall rhythm of the piece. The piri solo of “Neokpuri” played by Kim Gwi-bong consists of nine phrases. The basic melody appears in the two motifs of the first phrase, with the melody consisting of the beginning (a2-c3), middle (d3-e3), and closure (a2). Based on this initial melody, the phrases 2, 3, 5, and 7 are melodic expansions; 4, 8, and 9, contractions; and phrase 6 a repetition. In this regard, Kim Gwi-bong’s “Neokpuri” features a basic melody that alternately expands, contracts, and repeats. However, the basic melody of “Neokpuri” and the way the piece was improvised is merely one example of how Kim Gwi-bong created his music as he would have established a different set of a basic melody and variations if he had performed in a different setting. In this respect, if further research on the melodic aspect of traditional Korean musicians in the Jeolla region continues from a micro perspective, it will help deepen our understanding of how shamanic music is created in the Jeolla region.

한국어

우리나라의 굿음악은 다양한 선율을 만드는데 있어 그 기본이 되는 바탕선율이 있고 이 바탕선율을 변형시켜 새로운 선율을 생성하는 방식이 있다. 본고는 전라도 굿판의 악사였던 김귀봉이 연주한 <넋풀이>의 피리시나위를 대상으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선율을 만들어 나가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무가와의 관계를 통해 반주 양상을 알아본 결과, 피리와 무가와의 관계는 대부분 두 가락의 시작과 종지가 엇물리며 전체적인 구조선율이 다른 폴리포니(polyphony)방식이다. 결국 피리는 무가와의 선율 관계성이 적고 육자배기토리와 무가 장단 안에서 비교적 독립된 선율을 연주한다. 다음 김귀봉이 연주한 <넋풀이>의 피리시나위의 악구는 총 9악구이다. 음악의 바탕선율은 1악구의 2단락이었으며, 그 구성은 내는 가락(a2-c3)-다는 가락(d3-e3)-맺는 가락(a2)이다. 이 바탕선율을 중심으로 2, 3, 5 ,7악구는 확장 방식, 4, 8, 9악구는 축소 방식, 6악구는 반복 방식을 통하여 새로운 선율을 생성한다. 이처럼 <넋풀이>의 김귀봉 피리시나위는 굿음악 만들기 방식인 하나의 바탕선율이 있고 이를 중심으로 확대, 축소, 반복 방식을 통해 음악을 만든다. 그러나 본 연구의 <넋풀이>의 바탕선율과 음악만들기 방식은 김귀봉의 음악만들기 방식 중 하나이다. 김귀봉도 다른 연행 상황이 되면 바탕선율과 음악만들기 방식을 다르게 연주할 수 있다. 향후 미시적인 관점으로 전라도 고인들의 선율 생성원리에 관한 연구가 지속된다면 전라도 굿음악의 음악만들기 방식에 대해 다양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넋풀이> 피리 반주 양상
Ⅲ. <넋풀이> 피리시나위 음악만들기
Ⅳ.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정민 Seo, Jung-min.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악학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