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design a humanities model for preliminary universities using an online platform to develop and expand humanities thinking of preliminary university students. P University Expert Focus Group Interview and student surveys are conducted,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preliminary university model suitable for the humanities field is proposed. Expert FGI suggested the necessity of human resources education to build an online platform-based preliminary university model and improve humanities cap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ent survey, it was found that a majority of the respondents had high interest in humanities and recognized the need for a humanities preliminary university. This study proposes a humanities-based preliminary university model that enables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virtual space using the cross-platform Photo Serv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the humanities capabilities of preliminary university students by presenting an online platform preliminary university model that can respond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ince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oes not present examples of preliminary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of platform-based ppreliminary university management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인문학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해 예비대학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 평가하는 플랫폼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 대학의 특성에 맞는 예비대학을 설계하기 위하여 전문가 인터뷰와 재학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인문학을 기반으로 하는 예비대학의 모델을 제안하였다. 전문가 대상 인터뷰 결과 온라인 플랫폼에 기반한 예비대학 모델 구축 및 인문학적 사고에 기반한 인재 양성 교육의 필요성 등이 제시되었다. 재학생 대상 설문 결과에서는 인문학 기반의 예비대학 운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P 대학에 적합한 인문학 기반 예비대학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예비대학 모델 운영을 통해 참여 학생들이 대학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문학적 사고가 확장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후속 연구에서는 플랫폼 기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인문학 교육 연구
2.2 예비대학에 관한 연구
3. 연구 방법
3.1 전문가 표적집단면접법(FGI)
3.2 재학생 대상 설문조사
4. 연구 결과
4.1 전문가 표적집단면접법(FGI)
4.2 재학생 설문조사
4.3 예비대학 모델 설계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