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安国方言里的“VO”与“V得O”

원문정보

Between “VO” and “Vde(得)O” in Anguo(安国) Dialect

金恩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is a systematic opposition between “VO” and “Vde(得)O” in Anguo(安国) dialect. “VO” means the source and “Vde(得)O” means the object. “de(得)”in “Vde(得)O” is an auxiliary word. “Vde (得)O” comes from verb-sequence construction “Vde(得)O”. The emergence of “Vde(得)O”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related linguistic phenomena in Anguo(安国) Dialect: in modern Chinese and Mandarin, the source and the object need to be distinguished by means of lexical meaning or context; In Anguo(安国) dialect, source and object are represented by structure. “Vde(得)O” also has an influence on the usage of some “V”: some words, such as “bai(败)”, “shu(输)”, carry the causative object in Beijing dialect, while they can carry the recipient object in Anguo(安国) dialect. The main text considers the confrontation between “VO” and “Vde(得)O” in the Anguo(安国) dialect as a new paradigm for grammaticaliz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relative semantic categories are grammaticalized with two types of opposing grammatical structures. The development of grammatical phenomena in various dialects appears disproportionately. Looking at the process, in the case of expressing an object, context and lexical means take precedence over grammatical means in Standard Mandarin(普通话), whereas grammatical means dominates over the other two means in Anguo(安国) dialect. The confrontation between 'VO' and 'V得O' can be seen in the central Hebei(河北省) province in addition to the Anguo(安国) dialect, so a more in-depth investigation is required in the future.

한국어

중국의 보통화(표준어)와 기타 방언을 보면, 어휘 형식이 문법 형식보다 우위를 차지하 는 모습을 보이는데, 왜 안국 방언에서는 문법 형식이 더욱 우세할까? 본문은 안국 방언 중 “VO”와 “Vde(得)O”의 대립 현상을 문법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간주하고 이는 두 개의 상대적인 의미 범주가 두 종류의 대립적인 문법 구조로 문법화된 것임을 알 수 있 었다. 표면적으로 볼 때, 이 두 종류의 대립적 구조는 ‘인위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닌‘V得O’는 자체적인 발전 법칙에 따라 연동식에서 동목식으로 변화하여 ‘주동’과 ‘VO’가 대립하지 않게 되면서 두 개의 대립적 구조가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안국 방언을 보면, 동작의 주관적인 가능성을 나타낼 때는 ‘V唠’ 형식을 사용하지만, 객관적인 가능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 ‘V得唠’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보통화에서는 이러한 의미는 구조의 대립이 아닌 ‘能’이라는 어휘 형식을 빌려 표현한다. 또한 안국 방언에서 ‘V得O’의 생성은 연결사 ‘是’와 유사한 부분이 있지만 다른 점도 존재한다. 공통점으로는 모두 의미의 대립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며, 차이점으로는 연결사 ‘是’는 빈 항목을 보충하고 있는데 반해, 안국 방언의 ‘V得O’는 문법 형식이 어휘 형식을 대체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양한 방언 속에서 문법 현상의 발전은 불균형하게 나타난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대상을 표현하는 경우, 보통화에서는 문맥과 어휘 수단이 문법 수단보다 우위를 차지하는 반면, 안국 방언에서는 문법 수단이 다른 두 가지 수단보다 더욱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VO’와 ‘V得O’의 대립은 안국 방언 외에 허베이성 중부지역의 보예(博野)、리셴(蠡县)、 왕두(望都)、딩저우(定州)、칭위안(清苑) 등에서도 그 예를 살펴볼 수 있어서 추후 더욱 심도 있는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1. 引言
2. 安国方言中的“V得O”
3. “V得O”的产生
4. “得” 的性质与 “V得O” 产生的后果
5. 结语
參考文獻

저자정보

  • 金恩柱 김은주. 齊州汉拿大學校 觀光中國語科 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