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Activating Plan of Dialect in University Based on Jeju Dialect Perception Survey - Focusing on the Student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talize Jeju dialect based on thorough analysis on usage and perception of Jeju dialect according to student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A study based on survey of 160 students from Jeju National University who attended all twelve years of primary school using Jeju dialect about questions on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 toward education and policy issues regarding Jeju dialect. First, 85.5% of survey provided positive response such as “friendly” and “warm”. When the next survey asked about preservation of Jeju dialect, 93.4% agreed on the need to implement policies in the form of “development of contents related to Jeju dialect” and “education of Jeju dialect”. In regards to education of Jeju dialect, 92.6% provided positive response that dialect learning need to be provided through school education. Chapter three covers the current situation of Jeju dialect used in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Currently, Jeju National University provides educational courses under the name of “Understanding Jeju Dialect,” but the number of subjects is far short compared to the number of students showing interest in taking the course. Contents covered in the dialect courses are either overused or misled which leads to misunderstanding of dialect in various ways. In chapter four provided strategies on revitalizing Jeju dialect for student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such as proper education on Jeju dialect, establishment of dialect education center, Jeju dialect expert training, and certification system. Providing essential liberal art courses by different level is also essential however all contents and educational materials need to be verified through specialized institutions. Finally, the university needs to implement a Jeju language certification system for promotional purposes. As the official public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needs to take responsibility for preservation and education of Jeju dialect. After student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with proper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Jeju dialect, they will be able to properly establish policies necessary for the Jeju region to further preserve the Jeju dialect by playing a leading role in Jeju Island.
한국어
이 글은 제주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주방언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실태 양상을 파악 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제주방언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제주대학교 재학 생 160명에게 제주방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제주방언 교육, 제주방언 정책 문제 등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전체의 85.5%가 제주방언에 대해 ‘친근하다’, ‘정겹다’의 긍정적인 태도 를 보였다. 제주방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92.6%가 긍정적인 시각을 가졌으며 교육 의 형태는 ‘학교 교육’을 통해 실현되기를 바랐다. 또 전체의 93.4%가 제주방언 보존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고, ‘제주방언 관련 콘텐츠 개발’, ‘제주방언 교육’의 형태로 정책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현재 제주대학교에서는 ‘제주방언의 이해’라는 교과목명으로 방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과목 수강을 희망하는 학생의 수에 비해 과목의 수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제주대학교 내 방언을 활용한 콘텐츠는 대개 자주 사용되어 식상해진 어휘를 활용한 것이 거나 방언을 잘못 사용해 오해를 부를 만한 것들이 확인되었다. 이에 제주대학교 재학생을 위한 방언 활성화 방안을 대학 내 방언 교육, 방언 교육원설치, 제주방언 전문가 양성 등으로 제안하였다. 방언 교육은 단계별, 수준별 필수 교양 교과목을 설치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으며, 대학 내 제주방언과 관련되어 생산되 는 콘텐츠나 교육 자료 등은 제주방언의 쓰임을 검토, 감수할 수 있는 전문 기관을 통해 검증받아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제주대학교는 거점 국립 대학으로서 제주방언의 보전과 연구, 교육에 대한 책무를 지니 고 있다. 제주대학교를 졸업한 인재들이 제주 사람의 삶과 문화를 담은 제주방언을 정확히 인지하고 활용할 때 비로소 지역에 필요한 정책을 제대로 수립하고, 나아가 제주도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제주방언에 대한 인식 조사
3. 대학 내 제주방언의 현 주소
4. 대학에서의 제주방언 활성화 방안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