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전통시대 간찰서식집의 종합적 연구

『실용영선척독(實用英鮮尺牘)』과 영어간찰서식집의 양상

원문정보

『How to Compose English Letter』 and the Patterns of English Letter Writing Forms

안나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1882, the Joseon Dynasty felt the need for English interpretation when it signed a treaty of peace,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Korea and the US (朝美修好通商條約). Thus, a modern school was established and English education began in earnest. In 1923, Korea's first English Letter Writing Form, 『How to Compose English Letter (實用英鮮尺牘)』, appeared. This book briefly but comprehensively dealt with how to write letters in English, and hence met the needs of the times. Prior to the publication of 『How to Compose English Letter』, English Letter Writing Forms (henceforth “ELWFs”) published in China were distributed and used in Joseon, and commercial ELWFs, popular in Japan, were distributed in Joseon in the 1920s. ELWFs are needed, but intellectuals at that time had to write English letters mainly with books imported from foreign countries. After 『How to Compose English Letter』, in the 1940s, ELWFs appeared in earnest. This was the time when the English education fever took place, and ELWFs were used as part of studying English, not just teaching how to write letters. Looking at ELWFs in the 1950s and 1960s, there are works written by Korean authors, translated works into Korean, or works co-authored with foreigners, etc., and all of them were edi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Korea. Although ELWFs were constructed based on Western culture,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Letter Writing Forms (LWFs) were also common. In addition, unlike traditional LWFs, ELWFs pursued concise sentence writing and focused on practical purposes rather than excessive forms.

한국어

1882년에 조선은 미국과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을 맺으면서 영어 통역 의 필요성을 느끼고 근대 학교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영어 교육을 시작하였다. 1923년 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영어 간찰서식집 『실용영선척독(實用英鮮尺牘)』이 등장하였다. 이 책의 저자 채성석(蔡聖錫)은 당시 영어 공부를 하는 책이 많아도 영어로 편지를 써야 하는 데 필요한 서적이 없음을 알고, 저술하였다고 밝혔다. 『실용영선척독(實用英鮮尺牘)』 이 영어로 편지 쓰는 방법을 간략하지만 포괄적으로 다루어 당시의 필요에 부응하였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실용영선척독』이 출간되기 전에는 중국에서 출간한 영어간찰서식집이 조선에 유통되 어 사용되었으며, 1920년대에는 일본에서 인기 있던 상업 영어간찰서식집이 조선에서 활발하게 유통되었다. 주로 외국에서 수입한 책으로 영어 편지쓰기를 해야 하는 상황이었 던 것이다. 『실용영선척독』 이후 1940년대가 되면 본격적인 영어 간찰서식집이 등장한다. 이때는 영어교육 열풍이 일어났던 시기로 영어간찰서식집이 편지쓰기 방법을 알려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영어공부의 일환으로 활용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의 영어간찰서식집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저자가 직접 저술하거 나 외국인이 저술한 것을 번역, 또는 외국인과 공저(共著)하는 것 등이 있는데, 모두 우리 나라의 실정에 맞도록 편집되었다. 영어간찰서식집이 서양 문화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지 만, 전통 간찰서식집의 형식과 특징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영어 간찰서식 집은 전통 간찰서식집과 달리 간결한 문장 쓰기를 추구하고 과다한 형식보다는 실용적 목적에 중점을 두는 특징이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1. 시작하며
2. 최초의 영어간찰서식집 『실용영선척독(實用英鮮尺牘)』
3. 영어간찰서식집의 양상
4. 마치며
참고문헌

저자정보

  • 안나미 Ahn Nami.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