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주화 이전 시기, ‘애국심 교육’의 변천과 그 특징 -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Patriotism Education before Democratization in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

김홍수, 조수경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lor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by revealing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patriotism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during the pre-democracy period.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patriotism education in moralit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urriculum by period from liberation in 1945 to pre-democracy in 1987. As a result of the study, patriotism education before democratization can be said to have three characteristics. First, it forced national and state loyalty rather than individuals. Second, the national ideology, on the one hand, had a tendency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nationalism based on nationalism, and on the other hand, insisted on the denial of North Korea, the superiority of democracy, and peaceful unification based on thorough anti-communism. Third, it emphasized that patriotism and anti-communism contribute to world peace.

한국어

본 연구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87년 민주화 이전 시기까지, 시 기별로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도덕과의 애국심 교육내용과 그 특징을 밝히고, 그것이 도덕과 교육에서 가지는 함의를 밝히고자 한다. 기실 초·중등 학교에서 도덕과는 애국심 교육을 담당했던 핵심 교과였다. 본 연구에서 주창하는 ‘민주화 이전시기 애국심 교육’의 핵심을 일별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당 시기에는 개인의 윤리적 가치보다는 민족 과 국가 충성을 강요했다. 둘째, 해당 시기의 애국심 교육에서 국가이 념은 한편으로는 민족주의를 기반으로 국가발전과 국가주의 경향을 가 졌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철저한 반공에 기초하여 북한에 대한 부정, 민주주의의 우월성, 평화통일을 동시에 주장하였다. 셋째, 민주화 이전 시기 애국심 교육에서는 애국과 반공이 세계평화에 기여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애국심 교육의 개념과 관련 연구 동향
Ⅲ. 1950-60년대 애국심 교육
Ⅳ. 1970년대 애국심 교육
Ⅴ. 1980년대 애국심 교육
Ⅵ.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홍수 Kim, Hong-soo.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 조수경 Jo, Su-gyong.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권혁범, 「‘민주적 애국주의’에 대하여」, 『시민과 세계』16(참여연대참여사회연구소, 2009), pp. 226-236.
  • 2김대현, 『교육과정의 이해』(서울: 학지사, 2017).
  • 3김현선, 「애국주의의 내용과 변화: 1960-1990년대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제25권 제2호(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pp. 177-205.
  • 4나딩스 넬, 브룩스 로리, 정창우, 김윤경 역, 『논쟁 수업으로 시작하는민주시민교육』, (서울: 풀빛, 2018).
  • 5너스봄, 마사 외, 오인영 역, 『나라를 사랑한다는 것-애국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한계 논쟁』(서울: 삼인, 2003).
  • 6누스바움, 마사 C., 『세계시민주의 전통』(서울: 뿌리와이파리, 2020).
  • 7문교부, 『고등학교 교과과정』(문교부령 제1963-121호〔별책〕).
  • 8문교부, 『고등학교 교육과정』(문교부 고시 제1981-442호〔별책 4〕).
  • 9문교부, 『국민학교 교과과정』(문교부령 제1963-119호〔별책〕).
  • 10문교부, 『국민학교 교육과정』(문교부 고시 제1981-442호〔별책 2〕).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