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원문정보

Narrative Inquiry Ab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Educational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권정현, 이종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narrative inquiry to understand in-dep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Three research puzzles were constructed out of the curiosity about whether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s experience on educational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is a common phenomenon that o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To solve these puzzles in this study,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completed or graduated from both the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in educational counseling. Through interviewing them about their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on their narratives, constructed them as field text, and reconstructed them as research text.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research titles,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puzzles based on field text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the researchers processed field text as an intermediate text to be converted into research text based on three narrative inquiry axes such as temporality, place, and sociality. The narratives of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described in this way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based on various corroborative evidence to present a research text. The first dimension, ‘personal meanings' were derived as ’healing and growth through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moving on to a new learning, career, or task’, and ‘rethinking the relationship, living together’. The second dimension of ‘practical meanings’ were derived as ‘teachers who practice educational consideration and respect’, ‘teachers who reflect on themselves’, ‘teachers who actualize learning communities’, ‘teachers who practice creative guidance’, and ‘teachers who co-exist through true encounter’. The third dimension, ‘social meanings’ were derived as implications for education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and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하는 것이었다. 초등학교 교사인 연구자가 대학원에서 교육상담을 전공한 경험이 다른 초등학교 교사들도 경험하는 공통적인 현상인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비롯된 세 가지 연구퍼즐을 구성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에서 교육상담 전공 석사를 졸업하고 박사전공 경험이 있는 초등학 교 교사들이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를 면담을 통 해 수집하여 현장텍스트를 구성하였고, 연구제목, 연구목적, 연구퍼즐을 다시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자는 현장텍스트를 내러티브 탐구의 세 가지 축인 시간성, 공간(장소)성, 사회성을 기준으로 연구텍스 트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텍스트로 가공하였다. 현장텍스트로부터 재구성된 중간텍스트를 다양한 근거자료 를 토대로 해석하고 분석하여 연구텍스트로 제시하였다. 학술지의 특성상 본 연구는 연구테스트만을 제시 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의미를 세 가지 차원(‘개인적 의미’, ‘실제적 의미’, ‘사 회적 의미’)으로 분류하여 도출하였다. 첫 번째 차원인 ‘개인적 의미’는 ‘자기탐색과 자기이해를 통한 치유 와 성장’, ‘새로운 배움, 진로, 과업으로 나아가기’, ‘관계를 다시 바라보고, 함께 살아가며’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 차원인 ‘실제적 의미’는 ‘교육적 배려와 존중을 실천하는 교사’, ‘자신을 성찰하는 교사’, ‘배움공 동체를 실현하는 교사’, ‘창의적 생활지도를 실천하는 교사’, ‘진정한 만남으로 존재하는 교사’의 모습으로 도출되었다. 세 번째 차원인 ‘사회적 의미’는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과정’과 ‘예비교사 교육과 현직교사 연 수’에 대한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목차

요약
내러티브를 시작하며
내러티브의 시작
연구의 필요성
연구퍼즐
연구방법
내러티브 탐구
연구참여자
자료 수집 및 분석
연구의 정당성
연구의 윤리성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대한 논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개인적 의미’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실제적 의미’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사회적 의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제언
연구의 의의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정현 Junghyeon Kwoon. 청주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 이종연 Jongyeun Lee. 충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