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Disaster Relief Support for Disaster Victims and Reinforcement of Disaster Resilience - Measuring the Relative Importance Using AHP Analysis -

원문정보

재난피해자 재해구호복지 지원과 재난 레질리언스 강화 - AHP 분석을 통한 상대적 중요도 측정을 중심으로 -

A Yeon Kim, Jae Eun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s in disaster relief and welfare support activities by measur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disaster relief factors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COVID-19 disaster victi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cognized that the support principle is more important than the support subject in disaster relief and welfare support activities. Among the elements of the support principle, the principle of timelines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ocal government recognized as the first priority rather than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relative priority of each measurement element for the support subject. Third, it is necessary for local governments to expand their particip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Fourth, it is necessary to build a system that can check network capabilities. As a result, increasing the capacity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can help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disaster victims.

한국어

본 연구는 COVID-19 재난 피해자의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해 재해구호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함으로써 재해구호복지 지원활동의 개선사항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해구호복지 지원활동에서 고려해야하는 측정영역 간의 상대적 중요도는 지원 원칙이 지원주체보다 중요하고, 지원원칙 중에서 적시성 원칙이 가장 중요한 순위로 나타났다. 둘째, 지원주체에 대한 측정 요소별 상대적 우선순위에서 중앙정부보다 지방자치단체가 1순위로 중요하 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는 재난발생 지역에서 주민을 보호할 일차적 책무를 지니고 재난 현장에 신속하게 접근하고 효율적인 대응과 복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셋째, 지방자치 단체는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높이기 위해 참여 통로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네트워크 역량을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주민 간의 역량이 증가하는 것은 재난피해자를 위한 재해구호 복지 지원활동의 만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재난 피해자의 레질리언스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재해구호의 의의와 체계
2. 선행연구 고찰
Ⅲ. COVID-19 지원 및 대응
1. 중앙정부 감염병 대응 정책
2. 지방정부의 감염병 대응 정책
3. 피해 현황 및 지원현황
Ⅳ. 연구설계
1. 측정지표
2. 자료수집방법
Ⅴ. 분석 결과
1. 측정영역별 상대적 중요도 우선순위 분석
2. 측정 요소별 상대적 중요도 우선순위
3. 복합가중치와 우선순위
Ⅵ.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A Yeon Kim National Crisisonomy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Jae Eun Le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National Crisisonomy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