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복합운동순서가 비만 여대생의 복부지방 면적과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적 연구

원문정보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Complex Exercise Sequence on Abdominal Fat Area and Intention of Exercise Adherence in Obese College Students

이종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ffects of the 12-week complex exercise sequence on the abdominal fat area and intention of exercise adherence were analyzed for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data for continuous exercise participation by suggesting an effective exercise program for the purpose of reducing and preventing obesity.After resistance exercise, 15 people in the aerobic exercise group(A group) and 15 people in the resistance exercise group(B group) after aerobic exercise were classified, and the change and relationship between abdominal fat area and intention of exercise adherence were analyzed. In group 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abdominal visceral fat area and tendency factors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fter 12 weeks in group A, it was found that the area of abdominal visceral fat and the ratio of visceral fat/subcutaneous fa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tendency factors of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Therefore, in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aerobic exercise program after anaerobic exercise had a partial effect on abdominal fat area and intention of exercise adherence.

한국어

비만 여대생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운동 순서에 따른 복부지방 면적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여 비만 감소와 예방을 목적으로 실효적 운동프로그램을 제시하여 지속적인 운동참여를 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A group) 15명, 유산소운동 후 저항운동 집단(B group) 15명으로 분류하여 복부지방 면적 및 운동지속의도의 변화와 관계를 분석하였다. A group이 복부피하지방 면적과 운 동지속의도의 경향성 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A group의 12주 후 측정에서 복부피하지방 면적 과 내장지방·피하지방 면적 비율이 운동지속의도의 경향성 요인에 통계적인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비만 여대생들은 12주간 무산소운동 후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이 복부지방 면적과 운동지속의도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비만 감소와 예방을 목적으로 운동지속을 위한 실효적인 운동순서를 검증하는 것에는 일정부분 지지 가 된 결과라 생각한다. 후속 연구로 다양한 실효적 운동프로그램과 장기적인 분석을 통하여 비만 관련 혈액학적 변화 에 따른 운동지속을 관찰함으로써 운동 참가가 긍정적인 비만 예방의 조성방안으로 제시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12주간 운동프로그램
2.3 측정방법
2.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3.1 집단별 정규성 및 동질성 검증
3.2 복부지방 면적 및 운동지속의도의 변화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종민 Jong-Min Lee. 전주기전대학 운동재활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