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lended learning class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an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ven major safety education standards of elementary schools,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safety education,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As a result of previous studie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activation plans of safet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but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s, and COVID-19 situation were not sufficiently reflected. For the blended learning class of safety education, it consisted of six major topics (school violence, disaster safety, life safety, traffic safety, first aid, and COVID-19 prevention) and 36 detailed safety contents. Safety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flexibly selected and learned according to the class environment such as smart phones, iPads, and power points in consideration of the ey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blended learning and materials to overcome COVID-19 is expected to help reduce the burden of teachers' classes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by using them in various ways.
한국어
이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안전교육 블렌디드 러닝 수업자료를 개발하고 안전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초등학교 7대 안전교육 표준안, 초등체육과 교육과정, 안전교육 관련 문헌고찰 그리고 교사들의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선행 연구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안전교육 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초등학생의 특성과 개인차 그리고 코로나 19 상황을 충분하게 반영하지 못하였다. 안전교육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위해 6개(학교폭력, 재난안전, 생활안전, 교통안전, 응급처치 그리고 코로나 19 예방)의 대주제와 36개의 세부 안전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안전교육 교수·학습자료는 초등학생들의 눈높이를 고려하여 스마트폰, 아이패드 그리고 파워포인트 등 수업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선택하여 학 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초등학교 안전교육 블렌디드 러닝 보조학습·자료 개발은 언 제, 어디서, 누구나, 쉽게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교사들의 수업부담을 줄이고 안전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 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초·중·고등학교의 원격수업 운영 실태
3. 블렌디드 러닝과 안전교육
4.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위한 안전교육 자료 개발 절차
Ⅲ. 연구 결과
1. 초등학교 안전교육을 위한 보조 학습 자료(더 즐기자: 더 건강하게! 즐겁게! 기분 좋게! 자신의 안전을지키자!)
2. 더 즐기자 목차
3. 학교폭력의 이해
4. 재난안전의 이해
5. 생활안전의 이해
6. 교통안전의 이해
7. 응급처치의 이해
8. 코로나 19와 안전
Ⅳ. 논의
1. 교사들의 수업부담 해소
2. 블렌디드 러닝 수업과 안전교육의 효과
3. 교사·학생들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