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兵庫縣 十輪寺 소장 〈五佛會圖〉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Five-Buddha Painting at the Jurinji Temple, Hyōgo Prefecture in Japan

일본 병고현 십륜사 소장 〈오불회도〉 연구

신태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ive Buddha Painting owned by the Jurinji Temple, Hyōgo Prefecture in Japan and donated to the Osaka City Museum of Fine Arts features a unique screen composition with five Buddhas arranged in a cross. The screen composition of Five Buddha Painting shows a vertical rise from Sahā-lokadhātu of Śākyamuni to Dharma-dhātu of Vairocana via Sambhoga-kaya, depicting the desire of reaching Dharma-dhātu. The icons on the painting accepted icons in traditional paintings and also icons in Ming's prints, reflecting the acceptance and influential relations of icons in Chinese prints. Classified as a Buddhist painting in the court style of paintings from the former half of Joseon, Five Buddha Painting holds important significance and status in that it accepted the tradition of Goryeo's Buddhist paintings before it, played a pioneering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painting styles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and served as a matrix for Buddhist painting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An icon of five Buddhas based on a combination of Trikāya and Three Buddhas cannot be found in scriptures. It seems like a new form of faith that appeared first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The only record about faith related to five Buddhas is found in Sariyeongeunggi written by Kim Su-on at the order of King Sejong. The arrangement of pagodas and Buddhist images at the site of Hoeamsa Temple in Yangju is similar to that of Five Buddha Painting, which offers some hints about the influential relations of faith those days. The work is estimated to have been created at the end of the 15th centur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ts icons and styles. Queen Dowager Insu, who was at the center of Buddhist service during the period, seems to have commissioned the work. The figure in a crown appears in the work repeatedly. Given the cases of projecting the individual that commissioned a work on Buddhist paintings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it is estimated that the figure in a crown commissioned the work and must be related to Insudaebi. There is a big possibility that it was Wolsandaegun that commissioned the wor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cons. It is estimated that the work was created around 1490 when the Heungboksa Temple was built as the royal buddhist shrine.

한국어

일본 大阪市立美術館에 기탁되어 있는 兵庫縣 十輪寺 소장 〈五佛會圖〉는 다섯 여래가 十字形으로 배치되어 있는 독특한 화면 구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작품의 화면 구성은 석가모니불의娑婆世界에서 報身佛을 통해 비로자나불의 法界에 이르는 수직 상승하는 구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법계에 이르고자 하는 열망을 繪畵化한 작품이다. 작품에서 보이는 도상들은 전통적인 도상을 수용하면서도 明代 판화의 도상을 수용한 모습을 볼 수 있어 중국 판화 도상의 수용과 영향 관계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 전기 宮廷畵 風 불화로 분류되는 〈五佛會圖〉는 이전 시기인 고려 불화의 전통을 수용하면서도 이 시기 조선전기 불화의 양식을 확립하는 데 있어 선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후 전개되는 조선 후기 불화의 모태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와 위치에 있는 작품이다. 三身佛과 三佛이 결합된 五佛의 도상은 경전 상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며, 조선 전기 새롭게나타난 신앙의 형태로 보인다. 五佛과 관련된 신앙의 기록은 세종의 명으로 김수온이 기록한 『舍 利靈應記』에서 유일하게 확인되며, 양주 회암사지의 가람과 불상의 배치는 〈五佛會圖〉의 유사한모습을 볼 수 있어 당시 신앙의 영향 관계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작품의 제작 시기는 도상과 양식의 특징을 통해 15세기 말로 추정했으며, 이 시기 佛事의 중심에 있었던 仁粹大妃가 발원한 작품으로 보았다.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면류관을 쓴 인물은 조선 전기 불화에서 발원 대상을 작품에 투영시키는 사례 등을 볼 때, 작품의 발원 대상으로보고 인수대비와 관련된 인물일 가능성에 대해서 추론해보았다. 도상의 특징을 통해 작품의 발원대상은 월산대군으로 보았으며, 월산대군의 齋菴으로 지어진 興福寺의 건립 시기와 맞물린 1490 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측했다.

목차

I. 머리말
II. 圖像 분석
III. 畵風과 제작 시기
IV. 제작 배경과 발원자
V.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태호 Shin, Taeho. 성보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