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아시아태평양전쟁 말기 밀리환초(Mili Atoll) 동원 조선인의 저항과 피해

원문정보

Resistance and damage of Koreans mobilized in Mili Atoll at the end of the Asia-Pacific War

조건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7집 2021.12 pp.233-26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the Asia-Pacific War, Japan forcibly mobilized Koreans to an army civilian employee to Mili Atoll in the Mid Pacific. In 1942, about 800 to 1,000 Koreans were mobilized at Mili Atoll, mainly responsible for the construction and repair of an airfield on Mili Island. However, when the war situation worsened and the supply was stopped after June 1944, Mili Atoll fell into a serious food shortage. They tried to resolve the food shortage by farming themselves, but crops did not grow well due to climate and soil problems. In particular, the shortage of drinking water was serious, but they barely lived in rainwater. To make matters worse, the food shortage became even more serious as living facilities and forests were destroyed by the U.S. military air s trikes. In this situation, cruelty was committed by the Japanese military. The Koreans planned to escape from the island before the atrocities continued. It was planned to surrender to the U.S. military after overpowering the Japanese army in the early morning of March 1, 1945. However, it was discovered shortly after, and eventually, the Japanese army slaughtered numerous Koreans who participated in the escape plan. According to data prepared by the Japanese military, 32 people were shot and 23 people committed suicide, a to tal of 55 people died. Data produced by the U.S. military also show records of the resistance of Koreans and the massacre of Japanese troops. The U.S. Navy filmed and left all of the Korean people's escape from the Mili Atoll, movement, and life in the camp. Among the explanations in these photos, there is a record that 193 Korean "slave workers" resisted Japan and revolted, of which 68 survived. The U.S. military identified them as people mobilized for "slave labor." The resistance of an army civilian employee and the massacre of the Japanese military in Mili Atoll were identified as historical facts by the testimony of the victims, the list written by the Japanese military, and the records of the US military. However, there is still a lot to be revealed about the exact scale of damage and individual cases. Above all, the remains of victims of forced mobilization of Koreans who died at the time have not returned.

한국어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은 남양군도 밀리환초에 조선인들을 군속으로 강제동원하였다. 1942 년 약 800~1,000명의 조선인들이 밀리환초에 동원되었으며, 주로 밀리섬의 비행장 건설과 보수 공 사를 담당하였다. 그런데 전황이 악화되고 1944년 6월 이후 보급까지 중단되자 밀리환초는 심각한 식량난에 빠 져들었다. 직접 농사를 지어 식량난을 해소하고자 했으나 기후와 토양 문제로 농작물이 잘 자라 지 않았다. 특히 식수 부족이 심각했는데 빗물을 받아 겨우 생활하는 형편이었다. 설상가상 미군 의 공습으로 생활 시설과 숲까지 파괴되자 식량난은 더욱 심각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군에 의한 잔혹 행위가 벌어졌다. 조선인들은 잔혹 행위가 계속되기 전에 섬 을 탈출할 계획을 세웠다. 1945년 3월 1일 새벽 일본군을 제압한 뒤 미군에 투항하려는 계획이었 다. 그러나 이는 얼마 지나지 않아 발각되었고 결국 일본군은 탈출 계획에 참여한 수많은 조선인 들이 학살하였다. 일본군이 작성한 자료에 따르면, 총살당한 사람이 32명, 자살한 사람은 23명으 로 모두 55명이 사망하였다. 미군이 제작한 자료에도 조선인들의 저항과 일본군의 학살 사건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미 해 군은 조선인들의 밀리환초 탈출과 이동, 그리고 수용소 생활 등을 모두 촬영하여 남겼다. 이들 사진 설명 중에는 193명의 한국인 ‘노예 노동자’가 일본에 저항해 반란을 일으켰고 이 중 68명이 생존했다는 대목이 나온다. 미군은 이들을 ‘노예 노동’에 동원된 사람들로 파악하고 있었다. 밀리환초 조선인 군속들의 저항과 일본군의 학살 사건은 피해자들의 증언과 일본군이 작성한 명부, 그리고 미군 측 기록에 의해 대부분 역사적 사실로 규명되었다. 다만 아직도 정확한 피해 규모와 개인별 사례 등은 밝혀져야 할 내용이 많이 남아 있다. 무엇보다 지금도 당시 사망한 조선 인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유해가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일제의 밀리환초 점령과 주둔
Ⅲ. 조선인의 밀리환초 동원 피해와 저항
Ⅳ. 일본군의 조선인 학살 실태와 특징
Ⅴ. 밀리환초 조선인들의 해방과 귀환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조건 Cho, Geon.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