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시대 학자들의 정몽주 인식 - 비판적 평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perception of Jeong Mong-ju by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critical evaluation -

강문식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7집 2021.12 pp.105-12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reviewed the critical evaluation and counterargument raised by scholars during the Joseon Dynasty regarding Jeong Mong-ju's activities and studie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is is expected to help confirm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absolute positive perception of Jeong Mong-ju. The critical evaluation of Jeong Mong-ju b y Joseon scholars was raised in three main aspects. First, scholars from the 15th and 16th centuries, such as Nam Hyo-on, Jo Sik and Jeong Gu, criticized that Jeong Mong-ju's participation in the deposition of King Wu and Chang, whom served as kings, failed to fulfill his duties. In response to this, Lee Hwang dismissed the raising questions about Jeong Mong-ju's ac tivities as ‘the words of those who enjoy criticizing and refuting others’ and emphasized that Jeong Mongju's actions were justified, comparing the situations of King Wu and Chang's reign to those of Qin Shi Huang and Jin W on-je. S e c o n d , Le e Y i s a i d t h at a l t h o u g h J e o n g M o n g - j u h a d a l i tt l e s p i r i t of Confucianism, he could be recognized as a loyalist but could not be recognized as a scholar because he did not achieve his studies. On the other hand, Song Siyeol evaluated that Jeong Mong-ju made academic contributions to transferring the essence of Neo-Confucianism to later scholars, and affirmed that it is Sarim's public opinion to recognize Jeong Mong-ju as the founder of Neo-Confucianism in Korea. In addition, Kwon Sang-ha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conflicting evaluations of Jeong Mong-ju between Lee Yi and Song Si-yeol by interpreting the reason why Lee Yi did not recognize Jeong Mong-ju as a scholar in connection with Jeong Mong-ju's activities at the late Goryeo. Third, Yi Ik pointed out that Jeong Mong-ju's claim for a foreign policy that favors the Ming Dynasty and rejects the Yuan Dynasty not only abandoned the loyalty to Yuan but also overlooked the practical danger of Yuan's military invasion. But Yi Ik's criticism of Jeong Mong-ju's foreign policy did not have much effect on scholars since then. Accordingly, the positive evaluation of Jeong Mong-ju's promotion of friendly policies for the Ming Dynast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hinese system continued afterwards, forming an axis of Joseon scholars' perception of Jeong Mong-ju.

한국어

본고는 조선시대 학자들이 정몽주의 고려 말 행적 및 학문·정책 등에 관해 제기했던 비판적 평가와 그에 대한 반론의 전개 과정을 검토하여 정몽주에 대한 절대 긍정의 인식이 정착되어 갔던 과정의 일단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시대 학자들의 정몽주에 대한 비판적 평가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제기되었다. 첫째, 南 孝溫·曺植·鄭逑 등 15~16세기 학자들은 정몽주가 왕으로 섬겼던 우왕·창왕의 폐위에 동참 한 것은 신하의 도리를 다하지 못한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이에 대해 李滉은 정몽주의 출처에 대 한 문제 제기를 ‘의론을 좋아하고 남 공박하기를 즐기는 자들의 말’이라고 비판하였고, 우왕· 창왕의 왕위 계승을 秦始皇과 晉元帝의 상황에 비견하면서 정몽주의 행적이 정당했음을 강조하였 다. 둘째, 李珥는 정몽주에게 儒者의 기상이 조금 있기는 했으나 학문을 성취하지는 못했기 때문 에 충신으로는 인정할 수 있어도 학자로는 인정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에 반해 宋時烈은 정몽주 가 聖學의 요체를 후학에게 전수한 학문적 공로를 세웠다고 평가하고, 정몽주를 우리나라 道學 의 祖宗으로 인정하는 것은 ‘사림의 공론’이라고 단언하였다. 한편, 權尙夏는 이이가 정몽주를 儒者로 인정하지 않은 이유를 정몽주의 出處 문제와 연결시켜 해석함으로써 정몽주에 대한 이이와 송시열의 평가가 상충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셋째, 李瀷은 공민왕 대 정몽주가 親明反元 정책을 주장한 것은 元에 대한 의리를 저버린 것일 뿐만 아니라 元의 군사적 침략이라는 현실적 위험성을 간과한 것이었다고 지적하였다. 하지만 정 몽주의 외교 노선에 대한 이익의 비판적 지적은 이후 학자들에게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그 에 따라 고려 말 정몽주의 친명 정책 추진과 中華 제도 도입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이후에도 계속 이어지면서 조선 학자들의 정몽주 인식의 한 축을 형성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우왕~창왕 대 出處에 대한 비판
Ⅲ. ‘儒者’ 정몽주에 대한 두 가지 시각
Ⅳ. 공민왕 대 대외정책에 대한 이견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강문식 Kang Moonshik. 숭실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