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소학집성(小學集成)』 판본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ublication Work of Sohak-Jipseong(小學集成) in Joseon and Japan

김경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publication work of JeyuPyojeJuso Sohak-Jipseong(諸儒標題註疏小學集成), compiled by He Shi-xin(何士信) of the Yuan(元) dynasty, was carried out in Joseon. It was a commentary on Sohak(小學) which was first imported from China to Jose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results so far, the editions currently stored in domestic libraries, and literate data, it was identified that it was first issued as reprint copy edition in Joseon about at 1427, and it was recopied at 1429 with the preface of Jeong In-ji(鄭麟趾). And Kim Mun(金汶)’s corrected version of that was issued at 1436 with Gapinja(甲寅字), and it was reprinted with Gaejugapinja(改鑄甲寅字) at 1569. And there was also a 1744 edition published based on the 1429 recopied edition. These Joseon editions were made based on the first imported edi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世宗). These editions was transmitted to Japan again. The reprint copy edition of Joseon were recopied at Japan and are now reserved in the collection of the Jongyeonggak(尊經閣) in Japan. And Kim Mun’s corrected version was imported and reserved in the libraries of Japan including Japanese National Deit Library. In addition, Kim Mun’s corrected version was edited and published as a new type of book by Pungwoljangwimun(風月庄衛門). About 32 editions of this edition are kept in the collection of several libraries in Japan, and currently there are two in Korea. These results shows not only the circumstances of the effort to publish the commentary on Sohak in Joseon, but also that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ublication of the commentary on Sohak in Japan.

한국어

이 글은 조선에서 최초로 수입한 『소학(小學)』의 주석서로서 원(元)나라 하사신(何士信)이 집록한 『제유표제주소소학집성(諸儒標題註疏小學集成)』의 간행작업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그간의 연구성과와 현재 국내 도서관에 소장된 판본, 그리고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본 결과, 조선에서는 중국에서 가져온 판본을 번각한 원판 번각본(1427년경 추정), 1429년 그것에 정인지(鄭麟趾)의 발문을 붙여 다시 번각한 재번각본, 1436년 그것을 김문(金汶)이 교정하여 간행한 갑인자본(甲寅字本), 1569년 무렵 그 갑인자본을 중간한 개주갑인자본(改鑄甲寅字本), 그리고 1744년에 1429년의 재번각본을 바탕으로 목판으로 중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조선의 판본들은 모두 세종(世宗) 때 최초로 수입된 중국본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조선의 판본은 다시 일본으로 건너갔다. 조선의 원판 번각본을 수입하여 다시 번각한 것이 현재 일본 존경각 문고에 소장되어 있다. 김문의 교정본 또한 일본국립국회도서관을 포함해서 3곳에 소장되어 있다. 김문의 교정본은 풍월장좌위문(風月庄左衛門)에 의해서 새로운 형태의 책으로 편집되어 간행되기도 하였는데, 이 판본은 일본 내 여러 도서관에 32건 정도가 소장되어 있으며, 현재 한국 내 도서관에도 2곳에 소장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 우리는 조선에서 『소학』 주석서 간행에 노력한 정황을 확인함과 동시에 그것이 일본의 『소학』 주석서 간행에도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중국으로부터 『소학집성』 수입
3. 조선의『소학집성』 판본
4. 일본의 『소학집성』 판본과 조선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남 KIM Kyung-nam. 고려대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