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황진(黃震)의 인심유위장(人心惟危章) 해석을 통해 본 남송(南宋) 말 학술의 일면

원문정보

An Aspect of the Academic Situation at the End of the Southern Song Period, Seen through the Huang Zhen(黃震)’s Interpretation of the “Renxin-Weiwei(人心惟危)” Chapter

윤상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d Huang Zhen(黃震)’s interpretation of the “renxin-weiwei(人心惟危)” chapter in the Book of Documents, and through the critique of Chuan Xin theory(傳心說) and Xin Xue(心學) that appeared there, attempted to reveal an aspect of the academic situation at the end of the Southern Song period. Huang Zhen who followed Zhu Xi, interprete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renxin-weiwei” chapter is not that Yao(堯), Shun(舜), Yu(禹) “delivered their hearts”, but that they teached “how to rule the world” each other. This wa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academic situation at the time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is chapter focusing on the ‘delivering hearts’ strengthened the position of the ‘scholar of Zen(禪)’. However, Yang Jian (楊簡) was the most influential person in the era of Hwang Zhen among the ‘scholars of Zen’ who liked to talk about Xin Xue(心學) and fell into Zen. Hwang Zhen, who evaluated Zhu Xi(朱熹)’s great achievement in defeating the Buddhist Xin Xue and saving Li Xue(理學) from the crisis, tried to overcome Yang Jian’s Buddhist Xin Xue by succeeding Zhu Xi. Wen ji weng(文及翁) who followed Yang Jian, strongly resisted criticism of Xin Xue, emphasizing the absoluteness of the mind and the importance of Xin Xue. Hwang Zhen’s criticism of Yang Jian as Buddhist Xin Xue from the standpoint of Li Xue and Wen ji weng’s defense of Yang Jian from the standpoint of Xin Xue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chool of Zhu Xi(朱熹) and the school of Lu Jiuyuan(陸九淵) at the end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한국어

이 글에서는 황진(黃震)의 『서경』 「대우모」편의 ‘인심유위장’에 대한 해석을 살펴보고, 거기에서 나타나는 전심설(傳心說)과 심학(心學)에 대한 비판을 통해 남송(南宋) 말 학술계의 일면을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남송 말의 주자학자 황진은 ‘인심유위장’의 본지는 요⋅순⋅우가 ‘마음을 전했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을 전수했다’는 데 있다고 해석한다. 이는 ‘전심(傳心)’을 중심으로 이 장을 해석하는 것이 ‘선학자(禪學者)’의 입장을 강화시켜 주고 있다는 당시의 학술적 상황에 대한 인식을 배경으로 하여 나온 것이었다. 그런데 심학(心學)을 말하기를 좋아하다가 선(禪)에 빠진 ‘선학자’ 가운데 황진의 시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던 인물이 양간(楊簡)이었다. 불교 심학을 물리쳐 리학(理學)을 위기에서 구한 것을 주희의 위대한 공적으로 평가하는 황진은 주희를 계승하여 양간의 불교 심학을 비판 극복하려 하였다. 양간의 심학을 따르는 문급옹(文及翁)은 마음의 절대성과 심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심학 비판에 대해 강하게 반발한다. 황진이 리학(理學)의 입장에서 양간을 불교 심학이라고 비판하고, 문급옹이 심학의 입장에서 양간의 입장을 옹호하는 것은 남송 말 유학에서 나타난 주륙(朱陸) 대립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황진(黃震)
3. 인심유위장(人心惟危章)의 본지(本旨)
4. 불교 심학(心學)
5. 문급옹(文及翁): 심학(心學)과 리학(理學)
6.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상수 YOUN Sangsoo.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