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United Nations has established a Rule-based International Order as a core body of global governance, and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global peace and prosper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nflict and human rights protection, especially in reducing and controlling WMD, terrorism, absolute poverty and climate change. However, after the post-Cold War, the diversification of conflict factors and the increasing uncertainty of international order led to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the UN and the enlargement of the organization, resulting in two problems: inefficiency and bureaucracy.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the UN has promoted three PKO reforms since 2000, and in 2018 it announced the Action for Peacekeeping under the leadership of Secretary-General António Guterres, attempting to shift the paradigm of international peace activities. Meanwhile, South Korea launched the U.N. Independent Panel on Diplomacy in 2018, establishing a vision for U.N. diplomacy as a member of the middle power country, and proposing five strategic directions, including "Promoting U.N. Diplomacy to Strengthen Global Governanc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new Action for Peace-keeping Initiatives and role model being pursued by the United Nations and analyzed the cases of regional conflicts in South Sudan, Africa, and the peacekeeping activities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Based on this, in conjunction with the future strategy proposed by the Korea's UN Diplomatic Independence Panel,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peace operations of the Korean military in the era of UN diplomacy 3.0 was presented.
한국어
국제연합(United Nations)은 글로벌 거버넌스의 핵심기구로 ‘규칙에 기반한 국제질서(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를 구축하고 세계평화와 번영, 분쟁의 예방과 관리, 인권보호를 위해 평화유지활동(PKO)을 전개해 왔으며, 특히 대량살상무기의 감축과 통제, 테러리즘, 난민, 절대빈곤, 기후변화 등 전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하지만 탈 냉전 이후 분쟁요인의 다변화와 국제질서의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UN의 역할이 확대되고 조직이 비대해지면서 비효율성과 관료주의라는 두 가지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도전요인들을 극복하기 위해 UN은 2000년 이후 3차례에 걸친 PKO 개혁을 추진했으며, 2018년 안토니우 구테흐스(António Guterres) 사무총장의 주도로 평화유지구상(Action for Peacekeeping)을 발표하고 국제평화활동의 패러다임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은 2018년 유엔외교 독립패널 출범을 통해 중견국의 일원으로서 유엔외교의 비전을 정립하고, ‘글로벌 거버넌스 강화에 기여하는 유엔외교 추진’ 등 5대 전략적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UN이 추진하고 있는 새로운 평화유지구상과 역할모델을 살펴보고 아프리카 남수단의 지역분쟁과 한국군의 평화 유지활동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국제평화활동의 개선 소요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엔외교 독립패널에서 제시된 미래 전략과 연계하여 유엔외교 3.0 시대를 맞이한 한국군의 국제평화활동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1 중견국의 공공외교에 관한 이론적 논의
2.2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3. UN의 평화유지구상과 새로운 역할모델
3.1 국제평화유지활동의 역사적 흐름
3.2 국제평화활동의 변화와 UN 개혁의 흐름
3.3 PKO의 최근 동향과 UN의 평화유지구상
4. 사례연구
4.1 수단 내전과 UN PKO 평가
4.2 한국군의 남수단 파병과 평가
4.3 일본 자위대의 파병과 평가
5. 유엔외교3.0 시대, 한국군의PKO발전방향
6.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