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산 보원사수륙재의 과거와 현재 - 도량 건립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Past and Present of Seosan Bowonsa Surukjae -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bodhi-mandala -

이성운, 전영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writing considers finding the desirable way of Bowonsa 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by researching its past and present. Suryukjae before the modern era is studied in order to find out what Bowonsa Suryukjae looked like in the past, and its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in the comparison of its current Suryukjae and the current Suryukjae in Korean Buddhism. Suryukjae before the modern era was not performed with a single program, but with Gyeolsumun (結手文), Jungryemun (中禮文) and Jagimun (仔夔文), etc. based on the situation on its ground. It was performed in the main hall, the eastern and the western buildings, and the main gate of the temple, etc. in parallel by sharing their roles, It seems to have shown clearly that the leader and the performers of Suryukjae are the subjects of the rites in the past, which is thought to be the same case as Bowonsa Suryukja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Bowonsa Suryukjae, which is currently set at the site of Bowonsa, is the arrangement of bodhi-mandala, such as Gwaebul (掛佛, the Buddhist scroll painting) at the top of the center, The Middle altar and Orodan (五路壇, the altar to open the five paths of heaven) on the left, Jesandan (諸山壇, the altar for the mountains) and Sajadan (使者壇, the altar for the messenger) on the right and Cheongbapdan (聽法壇, the altar to invite the Dharma talk) on the south and a leader and a master seats in the upper front. Also, its other characteristics can be mentioned as follows: through the traditional rite of Sinjungcheong (神衆請, praying to pantheon), they pray good fortune for carrying the Buddhist scroll painting in the ceremonies of setting altar, and introduce the ritual to welcome the spirits (迎魂式) consisting of the formality of the 16th~17th century and restore the ritual of Samunsocham (沙門小參)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ritual scene.

한국어

이 글은 서산 보원사수륙재의 과거와 현재를 밝혀 바람직한 보원사수륙 재의 방향을 찾으려는 데 목적이 있다. 과거 보원사수륙재 모습을 찾아보 기 위해 근대 이전의 수륙재를 살폈고, 현행 수륙재는 현재 한국불교 수륙 재 현장을 비교하며 보원사수륙재의 특징을 살폈다. 근대 이전의 수륙재는 단일한 의문에 의해 설행되는 것이 아니라 설판 상황(設辦狀況)에 의거하여 결수문(結手文)・중례문(中禮文)・자기문(仔夔文) 등으로 수륙재가 설행되었고, 사찰의 주전(主殿)・양서(兩序)・정문(正門) 등 에 체계적으로 설단되었으며, 의례 설행은 그 역할을 분담해 병렬로 행해 졌고, 회수(會首)와 재자(齋者)가 의례의 주체임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등 이 과거의 의례에서는 잘 지켜져 왔을 것으로 보이며, 보원사수륙재도 다 르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보원사지에 수륙도량을 건립하고 있는 현재 보원사수륙재의 특징으로는 중앙의 상단에 괘불을 걸고, 좌측에 중단과 오로단을, 우측에 제산단(諸山 壇)과 사자단(使者壇)을, 남측에 청법단(聽法壇)을 설치하고, 상단 앞자리 에 회수(會首)와 재주(齋主) 자리를 마련한 도량 배치가 언급될 수 있다. 또 건단(建壇)의식에서 전통의 신중청(神衆請) 의식을 통해 괘불이운(掛佛 移運)의 옹호(擁護)를 발원하고 있으며, 영혼(魂靈)을 맞이하는 영혼식(迎 魂式)은 16~17세기 형식을 도입하고, 다른 재장(齋場)에서 볼 수 없는 사 문소참(沙門小參: 對靈一種) 의식을 복원하고 있는 설행(設行) 등이 언급 될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
Ⅰ. 서언
Ⅱ. 근대 이전의 수륙재
Ⅲ. 현대 수륙재의 양태
Ⅳ.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성운 Lee, Sung woon.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교수.
  • 전영숙 Jeon, Young sook. 세계불학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