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리의 불교 존재론적 해석

원문정보

Buddhist Ontological Study of Sound

이태영, 신성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und has a wide impact on human life and has the effect of awakening the surroundings in a variety of shapes beyond imagin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hree generations, sound is an illusion without a fixed substance. This is because sound is an elastic wave that only appears when there is a medium called air (O₂). Also, if a sound is recognized by dividing it into sound presence and absence, it is an error. This is because silence, which is outside the range of human audible frequency(可聽周波數), often produces sound even when it is in a state of silence when measured closely. The reality of sound grasp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amje Won-yong (三諦圓融) is a virtual image and a real image, empty and the middle way. Ga ( 假) and the middle (中) are embedded in the empty (empty), the empty (empty) and the middle (中) are embedded in the false (假諦), and the empty and the middle (中諦) are embedded in the empty (假諦) Ga (假) is inherent. Sound is an object of recognition through the ear and is an important driver of enlightenment. In particular, Lee Geun-won-tong (耳根圓通) of Guanyin Bodhisattva is in a unique position in the practice of sound. In addition, by using the resonance phenomenon, sound is proving its utility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used not only in the medical field, such as sound therapy, but also as a medium to popularize meditation. However, it is only the human responsibility to make these sounds poisonous or medicinal.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overall appearance of sound and its use, and to study the source of sound and its existence.

한국어

소리는 인간의 삶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며 상상 그 이상의 다양한 모습으로 주변을 일깨우는 효능이 있다. 삼대(三大)의 관점에서 본 소리는 고정된 실체가 없는 허상(虛相)이다. 소리는 반드시 공기(O₂)라는 매질이 있어야만 그 모습을 드러내는 탄성파이기 때문이다. 또한 소리를 소리 있음과 없음으로 이분(二分)하여 인식하면 이는 오류(誤謬)를 범하는 것이다. 인간의 가청주파수(可聽周波數) 범위를 벗어난 정적(靜寂) 등은 흔히 무음(無音)의 상태일 지라도 세밀하게 측정해 보면 소리가 발생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제원융(三諦圓融)의 관점에서 파악한 소리의 실체는 허상이자 실상이고 공(空)이며 중도(中道)인 것이다. 공제(空諦)안에 가(假)·중(中)이 내재되어 있고, 가제(假諦)안에 공(空)·중(中)이 내재되어 있으며 중제(中諦)안에 공(空)과 가(假)가 내재된 것이다. 소리는 이근(耳根)을 통한 인식의 대상으로 깨달음의 중요한 동인(動因)이다. 특히 관세음보살의 이근원통(耳根圓通)은 소리수행의 독보적인 지위에 있다. 또한 소리는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소리요법 등 의학 분야는 물론이거니와 명상의 대중화를 위한 매개(媒介)로서 활용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그 효용을 드러낸다. 그러나 이러한 소리를 독(毒)이 되게도 약(藥)이 되게도 하는 것은 오로지 인간의 몫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전반적인 소리의 모습 및 그 활용을 살펴보고 소리의 근원이 무엇인지 그 존재에 대해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삼대(三大)적 관점
1. 소리의 본질[體]
2. 소리의 모습[相]
3. 소리의 활용[用]
Ⅲ. 삼제원융(三諦圓融)적 관점
1. 실상은 허상
2. 삼제원융(三諦圓融)
Ⅳ. 수행적 관점
1. 이근(耳根)의 원통(圓通)
2. 소리에 따른 이근의 본성
3. 소리를 수행으로 삼은 아라한과 대보살
Ⅴ. 심신치유적 관점
1. 소리의 치유적 기능
2. 소리의 현대적 효용
Ⅵ.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태영 Lee, Tae-young.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과정
  • 신성현 Shin, Sung-hyun.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