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태교론의 전통과 근대

원문정보

Tradition and Modernity of Japanese Prenatal Care

박이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flow and trend of the theory of prenatal care that has spread in Japan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This is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Shimoda Jiro’s book Taikyō (1913), which is regarded as a epochal turning point in the theory of prenatal care in Japan. At the same time, the background to which this theory of prenatal care could appear at that time was examined. In the process, it was clarified that the theory of prenatal care in modern Japan was born by combining hygiene and eugenics, which were popular as the latest scientific knowledge at that time. If traditional prenatal care in Japan consisted of characteristics stemming from a female-centered “book for self-discipline”, Taikyō denied the traditional view of the body in term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which recognized the mother as a ‘borrowed belly’ for bearing children. And Taikyō explained with the modern concept of hygiene that the health of mothers and children is important. Books on prenatal care publish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fter Taikyō stated that prenatal care is a form of eugenics. In Japan, the National Eugenic Act (1940) enacted under the pretext of protecting national hygiene inspired the classification of the Japanese as ​​a chosen people. At that time, the theory of prenatal care, which was created from the combination of public hygiene and eugenics, provided a justification for the National Eugenic Act, and this still serves as the basis for the Eugenics Protection Law and Motherhood Protection Act. It serves as a supposed “scientific basis” for the perception that “insanitariness” and “disability” are not good.

한국어

본고에서는 일본에서 확산된 태교론을 역사적 관점에서 그 흐름과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본 태교론에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받는 시모다 지로의 『태교(胎敎)』(1913년)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태교론이 당시 등장할 수 있던 배경을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당시 최신 과학지식으로 유행하였던 위생학과 우생학이 결합하여 탄생한 근대일본의 태교론의 특징을 규명할 수 있었다. 일본에서 전통적인 태교가 여성 중심의 금기록(수양서) 같은 성격을 가졌다면, 『태교』는 임신과 출산에 있어 모체를 아이를 낳기 위한 ‘빌린 배’로 인식했던 전통적 신체관을 부정하고 모자의 건강이 중요하다는 근대적 위생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반면 당시 일본 사회에 확산된 유전학과 인종개량론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태교』 이후 20세기 전반에 출간된 태교 서적에는 ‘태교가 우생학’임을 명시하기에 이른다. 국민우생법(1940년)을 제정해 민족위생보호라는 명목으로 일본인을 계급화하고 선민사상을 고취했던 당시 위생학과 우생학이 결합하여 탄생한 태교론은 국민우생법에 명분을 제공하였다. ‘불결함’과 ‘장애’는 좋지 못한 것이라는 인식 저변에 영향을 주는 ‘과학적 근거’로 기능한 것이다.

일본어

本稿では、日本で拡散した胎教論を歴史的観点からその流れと傾向を調べた。そして日本の胎教論で画期的な転換点となったと評価される下田次郎の著書 『胎敎』(1913年)の内容を分析し、このような胎教論が当時登場した背景を考察した。その過程で当時最新の科学知識として流行していた衛生学と優生学が結合して誕生した近代日本の胎教論の特徴を究明することができた。 日本で伝統的な胎教が女性中心の禁忌録(修養書)のような性格を持っていたとしたら、 『胎敎』は妊娠と出産において母体を子供を産むための「借り腹」と認識した伝統的な身体観館を否定して母子の健康が重要であるという近代的な衛生概念として説明した。一方、当時日本社会に拡散した遺伝学と人種改良論の影響を反映していることもある。 そして 『胎敎』以後20世紀前半に出版された胎敎書籍には「胎敎が優生学」であることを明示するに至る。国民優生法(1940年)を制定し、民族衛生保護という名目で日本人を階級化し、善民思想を鼓舞した当時、衛生学と優生学が結合して誕生した胎敎論は、国民優生法に名分を提供した。「不潔さ」と「障害」は良くないといった認識の底辺に影響を与えた「科学的根拠」として機能した。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일본 태교론: 역사와 특징
Ⅲ. 근대일본 태교의 전환점: 시모다 지로의 태교론
Ⅳ. 태교와 우생학
Ⅴ.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박이진 Park, Lee-jin.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부교수, 일본문화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