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후지타 도코 『홍도관기술의』의 사상 연구 — 유학(儒學)의 관점에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houghts of Kodokangijutsugi by Fujita touko

김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s an article written by Japanese Confucian scholar Fujita touko(藤田東湖), who received the order of Tokugawa nariaki(徳川斉昭), the monarch of Mito Domain(水戸藩), and posted the educational purpose of Kodokan(弘道館) when Mito Domain’s Clan school(藩校), Kodokan, was established. The writing background of is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Mito Domain: the unity of Shinto(神道) and Confucianism, and the parallelism of literature(文) and the policy of militarism(武). Fujita touko emphasizes the Japanese-centered structure that broke away from China. Fujita touko advocated the ideology of Sonnojoi(尊王攘夷) to elevate the family of the emperor, who inherited the legitimacy of Japan’s Solar deity(太陽神), and defeat external enemies, and said that raising the emperor is literature’s domain, and defeating barbarians is the policy of militarism’s domain. He said that the ideology of Sonnojoi becomes the parallelism of literature and the policy of militarism. Fujita touko inherited and developed the viewpoint that appeared in of his father Fujita yukoku(藤田幽谷). No matter how strong the power, the king of Japan is the emperor, and that is unchanging. And the emperor shows his majesty by offering sacrifices to the gods of heaven and earth. Such an emperor’s family is Japan’s National polity(國體), and it is a union of Shinto, which emphasizes that raising the emperor is unique to Japan, and Loyalty(忠), a Confucian who is loyal to the king. Fujita touko showed an attitude that rejected Buddhism, because it was not unique to Japan. This is a different attitude from Confucianism from China. Perhaps it is because Buddhism, which has a weak secular nature, is opposed to the idea of Fujita touko, which emphasizes the uniqueness of Japan and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subject.

한국어

『홍도관기술의(弘道館記述義)』는 일본의 유학자 후지타 도코(1806-1855)가 미토 번(水戸藩)의 번교(藩校)인 고도칸(弘道館)이 세워졌을 당시, 번주(藩主) 도쿠가와 나리아키(徳川斉昭)의 명을 받고 그 교육 취지를 올린 글이다. 후지타 도코는 일본 사상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후기 미토학(水戸学)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사람이며, 그의 사상은 사이고 다카모리(西郷隆盛)·요시다 쇼인(吉田松陰) 등, 메이지 유신과 관련된 중요 인물들에게 영향을 주어, 현대 일본의 정치사상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홍도관기술의』는 후지타 도코의 대표 저작으로, 그의 사상을 알아보기 위해 가장 중요한 자료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홍도관기술의』의 저술 배경에는 신도와 유교의 합일, 문과 무의 병행이라는, 미토 번의 사상적 배경이 있다. 이것은 도쿠가와 나리아키를 중심으로 한 미토 번의 번교 교육 방침이기도 했다. 도코는 유교를 따르긴 하나, 중국에서 탈피한 일본 중심적인 구도를 강조한다. 도코는 일본 태양신의 정통성을 이어받은 천황 가(家)를 높이고 이적을 물리치는 존왕양이의 구도를 주장하며, 황실을 높이는 것을 문의 영역이고, 이적을 물리치는 것을 무의 영역이라 하며 존왕양이가 바로 문무합일이 됨을 말했다. 도코는 아버지 후지타 유코쿠의 「정명론」에서 나타난 관점을 계승, 발전시켜 군신론을 주장했다. 아무리 권력이 강해도 일본의 왕은 천황가이며, 그것은 불변의 것으로, 천황은 천지신에 대한 제사로 위엄을 드러낸다고 한다. 이러한 천황가는 일본의 국체로, 천황을 높이는 것이 바로 일본 고유의 것을 강조하는 신도와 임금에게 충성하는 충(忠)의 합일이 된다. 도코는 불교를 배척하는 태도를 보였는데, 도코는 일본 고유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중국에서 온 유교와 다른 태도인데, 아마도 세속적인 성격이 비교적 약하며, 부모와 군신을 비롯한 인간관계에서 벗어나 궁극적으로 해탈을 추구하는 불교는, 천황을 높이고 천황과 신하의 관계를 확실히 하며 일본 고유의 것을 강조하는 도코의 사상과 대치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후지타 도코의 사상은 유가의 정명론·주자학적 대의명분론이 일본에서 미토학을 거치며 절대적 군신관계가 강조되며, 국수주의·민족주의적 경향이 강해져 존왕양이 사상으로 전개되었음을 보여준다.

일본어

「弘道館記述義」は、日本の儒学者藤田東湖が水戸藩の藩校である弘道館が立てられた時に、藩主徳川斉昭の命を受けて、その教育の趣旨をあげた文である。藤田東湖は、日本で思想的に非常に重要な人物で後期水戸学を代表する人物の一人であり、彼の思想は西郷隆盛·吉田松陰など、明治維新に関する重要人物たちに影響を与え、現代日本の政治思想にまで続いている。「弘道館記述義」は、藤田東湖の代表著作で、彼の思想を研究するために最も重要な材料の一つである。 「弘道館記述義」の著述背景には、神道と儒教の合一、文武の並行という、水戸藩の思想的背景がある。これは徳川斉昭を中心とした水戸藩の藩校教育方針でもあった。藤田東湖は儒学者だったが、中国から脱皮した日本中心的な構図を強調する。藤田東湖は、日本太陽神の正統性を受け継いだ天皇家を高め、夷狄を退ける尊王攘夷の構図を主張し、皇室を高めることを文の領域で、夷狄を退けることを武の領域と言って尊王攘夷がまさに文武合一になることを述べた。 藤田東湖は父藤田幽谷の「正名論」の観点を継承、発展させた君臣論を主張した。彼はいくら権力が弱くても、日本の王は天皇家であり、それは不変のもので、天皇は天地の神に祭祀を行うことで威厳を現すという。彼によると、このような天皇は日本の国体で、天皇を高めるのことが日本固有のものを強調する神道と王に忠誠を尽くす儒教の忠の合一になる。 藤田東湖は仏教を排斥する態度を見せた。藤田東湖はその理由を日本固有のものではないからだと言う。これは、中国から来た儒教と異なる態度である。これはおそらく、世俗的な性格が比較的弱く、親と君臣をはじめとする人間関係から抜け出し、最終的に解脱を追求する仏教は、天皇を高め王と臣下の関係を確実にし、日本独自のものを強調する彼の思想と対峙するためと思われる。 藤田東湖の思想は儒家の正名論と朱子学的大義名分論が、日本の水戸学を経て絶対君臣関係が強調され、ナショナリズム·民族主義的な性格が強くなって尊王攘夷思想で展開されたことを示す。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사상적 배경과 구성
1. 사상적 배경
2. 구성과 내용
Ⅲ. 『홍도관기술의』의 주요사상
1. 신유일치(神儒一致)와 존왕양이(尊王攘夷)
2. 천황 중심의 국체론(國體論)
3. 배불론(排佛論)
Ⅳ. 기존 유학 사상들과 비교-차이와 공통점
1. 후지타 유코쿠와의 사상적 차이
2. 공자와 미토학의 군신관 비교
3. 주자학의 화이론(華夷論)과 미토학의 배불론
Ⅴ.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훈 Kim, Ji-hoon.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