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Burnout and Job Stress of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burnout and job stress of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2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from K city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fter they were introduced of the purpose. They were divided into 6 members of experimental and 6 members of control group. The group art therapy were 90 minutes each and were implemented once or twice a week in total of 10 sessions. The research methods were burnout inventory and job stress scale and they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For data analysis Wilcoxon Signed Rank Tests and Mann Whitney U Tests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decreasing burnout of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Secondl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decreasing job stress of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To sum up those research results,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burnout and reducing job stress of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service. Therefore, we expect that group art therapy could be applied to special schools and the psychotherapy field for curing and solv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of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시의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목적을 안내하고, 참여의사를 밝힌 1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6명, 통제 집단 6명으로 구성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주 1∼2회 9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심리적 소진 척도와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과 사후 검증을 실시 하였다. 자료 분석은 Wilcoxon Signed Rank 검증과 Mann Whitney U 검증을 사용하였 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 의 심리적 소진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특수교육 치료지원 서비스 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집단미술 치료가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가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해결과 치료를 위해 특수학교와 심리치료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절차
4.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5.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의 심리적 소진 변화
2.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변화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회기별 작품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