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in Universities on Dropout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in universities on dropout rate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ropout rates by dividing career education into job and start-up education, job and start-up activities, and job and start-up suppor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rate of start-up course completion, start-up support amount, and student start-up ratio, the lower the dropout rat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start-up-related education, activities, and support variables affected the dropout rate, but employment-related variables did not affect the dropout rate. Thi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n effect on the school life of college students by factors related to start-ups during career education at universities. Regarding other control variables, private universities had a higher dropout rate than non-private universities, and the smaller the size of the university, the higher the dropout rate. Although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data commonly disclosed by universities, there are implications in that it has been verified that start-up-related factors affect college students' dropout during college career education. In other words, if each university analyzes and reflects the degree of career-related needs of students and is linked to various programs and curriculum, it will help the university's enrollment rate.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의 진로교육이 중도탈락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진로교육을 취·창업 교육, 취·창업 활동, 취·창업 지원으로 구분하여 중 도탈락률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창업강좌이수율, 창업지원액, 학생창업자비율이 클수록 중도탈락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업 교육, 창업활동, 창업지원 변수들이 중도탈락률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지만, 취업 관련 변수들은 중도탈락률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못 하였다. 이는 대학의 진로교육 중 창업 관련 요소가 대학생의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 석할 수 있다. 그 외 통제변수와 관련하여 사립대학의 경우 비사립대학 보다 중도탈락률이 높았고, 대학의 규모가 작을수록 중도탈락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변수들이 대 학이 공통적으로 공시하는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진로교육 중 창업 관 련 요인이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고 본다. 즉, 각 대학마다 재학생의 진로 관련 요구정도를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 과정으로 연계된다면 대학의 재학생충원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와 가설의 설정
1. 중도탈락
2. 진로교육
3. 대학의 진로교육 품질 결정 요인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