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직 내 경력지속의지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인 및 경력열망의 조절효과 검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ntecedents, Outcomes, and Moderating Effect on Career Aspiration of Organizational Career Retain

김병우, 양성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enha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maintaining the jobs and careers of organizations’ members from the viewpoint of companies in the current business environment and labor market amidst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introduc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tudies on embeddedness had previously focused on the employees changing jobs, but they have since been expanded to explore the reasons pertaining to why employees choose to stay in an organization rather than leaving. This study highlights the interactions between employees and groups when performing tasks and focuses on the associations that encourage employees to form an attachment with the company, both of which are important aspects of embeddedness that reflect the social web of organizations’ members. It also examines taking charge behaviors and psychological withdrawal behaviors with respect to work the performance of employees to enha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urthermore, this study verifies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aspiration as a variable that reflect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areer retain and individuals’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human resources and career management, which are core issues involving an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A self-report survey of the employees working in private and public companies in Jeju Island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hypotheses set in this study. Overall, 220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organizational career retain had a partial mediator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beddedness (link) and taking charge behavio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beddedness (link) and psychological withdrawal behaviors.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career aspiration, which was initially expecte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embeddedness (link) and organizational career retain. Last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s findings are discussed along with it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한국어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COVID-19 시국이라는 기업환경 및 고용노동시장 하에서 기업 입장에서의 유효성 제고와 조직구성원의 직업 및 경력유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배태성은 주로 구성원들의 이직과 관련되어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인사조직 연구로 확장되면서 조직을 이탈하기보다 조직에 머무르는 이유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사회적인 웹을 반영하는 배태성 의 핵심측면으로 직무수행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동료와 집단 내에서의 상호작용, 그리고 조직에 대한 구성원 의 애착을 유발하는 연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또한, 기업조직의 유효성 제고를 위한 조직구성원의 직무수 행으로는 적극적 행동과 심리적 철회행동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조직과 구성원 간의 핵심이슈라고 할 수 있는 인재관리, 경력관리와 관련하여 조직 내 경력지속의지의 매개효과와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는 변수로 서 경력열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의 실증분석을 위해 제주도 내 민간기업 및 공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자기보고 식 설문응답을 실시하고, 220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직 내 경력지속의지는 배 태성(연계)과 적극적 행동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나, 배태성(연계)과 심리적 철회행동의 관계 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배태성(연계)과 조직 내 경력지속의지 간 의 관계를 강화할 것으로 설정했던 경력열망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 구결과에 관한 논의에서는 본 연구를 통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에 대해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2.1 직무배태성과 직무수행
2.2 직무배태성과 조직 내 경력지속의지
2.3 조직 내 경력지속의지의 매개효과
2.4 경력열망의 조절효과
Ⅲ. 연구 설계
3.1. 연구모형
3.2. 변수의 측정 및 조사 설계
Ⅳ. 실증분석
4.1 표본의 특성 및 측정도구 검증
4.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4.3 가설 검증
Ⅴ. 결론
5.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병우 Byung-Woo Kim. 제주대학교 경영학 박사
  • 양성국 Sung-Kuk Yang. 제주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