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거리 줄이기 : 가상공간에서 음악의 사회적 역량 및 연결 능력 재형성
초록
영어
Ethnomusicologists have long recognized the integrative function of music performance. Studies of music performance examine social histories, politics, spiritual beliefs, among others, that underscore meaning in music performance as well as examine the acoustics and physical experience which shape the value and impact of a performance. To ethnomusicologists, the contexts of performance and identities of performers are as essential as the aesthetics and production of sound. Transformations in sociocultural contexts lead to transformations in perceptions and interpretations of musical performance and understanding these is essential to ethnomusicology’s ongoing development. In 2020, the COVID-19 pandemic forced into survival mode industries and events dependent on the movement and gathering of people. The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for example, had to reconceptualize its annual conference, which, historically, brings together 3~4,000 individuals for in-person networking and academic presentations. Music performance at these conferences largely has been peripheral, engaging audiences in passing and enhancing, rather than centralizing, the significance of the overall event. Without downplaying its devasting impact worldwid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pandemic has created opportunities to re-imagine ways by which we interact and the role of music performance therein. In this paper, I contend that this new virtual reality into which we were all forced has altered perceptions regarding the use of music, the significance of hybrid music performance space, and music performance’s impact and function. Here, I examine pre-recorded performances of Chindon’ya and contemporary Japanese fusion music at the 2021 AAS Virtual Annual Conference. Within this specific virtual space, music performances merged with organizers’ intellectual framing and the virtual ‘chuimse’ of participants.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se performances, I will uncover the ways by which the physical location of performance worked in tandem with the virtual space to both dissolve space and time and reshape the meaning of music performance within the conference context. My goal is to demonstrate how such online music performances can eradicate perceptions of physical distance while simultaneously augmenting connectivity of participants. Such performances engage all participants—performers, producers, spectators—in an active, multisensory immersion in a space both real and imaginary.
한국어
민족음악학자들은 오랫동안 음악 연행의 통합적 기능을 인지하여 왔다. 음악 연 행 연구는 연행의 가치와 효과를 형성하는 음향적, 물리적 경험뿐만 아니라 연행 속에서 의미를 드러내는 사회사, 정치, 영적 믿음 등을 살피어 왔다. 민족음악학자들 에 있어 연행의 맥락 및 연행자의 정체성은 소리의 미학과 생성만큼이나 핵심적이어 왔다. 사회문화적 맥락의 변화는 음악 연행에 대한 인식 및 해석의 변화를 만들었고, 이에 대한 이해가 민족음악학의 발달에 핵심을 이루었다. 2020년 코비드-19 감염병은 사람들의 이동 및 집결에 기반한 산업 및 이벤트들을 위태롭게 만들었다. 아시아학 연구협회(The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를 예로 들면, 네트워킹 및 학술 발표를 위해 3, 4천 명이 모여오던 연례 컨퍼런스를 재고해 야 하였다. 이러한 컨퍼런스에서의 음악 연행은 주변적이었으며, 지나치는 청중들을 참여시키며 (중심에 두기보다는) 전체 이벤트의 의미를 증진시키는 것이었다. 전지 구적인 파괴적 효과를 경시하지 않은 채, 감염병은 우리가 상호작용하는 방식 그리 고 음악 연행의 역할을 재상상할 기회를 만들어냈음을 지적할 만하다. 이 연구에서 나는 이 새로운 가상현실 속에서 우리가 음악의 활용, 혼합된 음악 연행 공간의 중요 성, 그리고 음악 연행의 효과와 기능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켜야만 함을 역설한다. 발표에서 나는 2021년 AAS 가상 연례 학회에서의 진돈야(Chindon’ya) 및 현대 일본 퓨전 음악 연행 녹음을 분석한다. 이 특정된 가상공간에서 음악 연행은 주최측 의 지적인 프레이밍 및 참여자들의 가상적 ‘추임새’와 어우러진다. 이 연행들의 분석 을 통해, 나는 연행의 물리적 장소가 가상공간과 함께 작동하여 시공간을 해체하고 컨퍼런스 맥락 속 음악 연행의 의미를 재구하는 방식을 드러낼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어떻게 이러한 온라인 음악 연행자들이 참여자들의 연결성을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물리적 거리의 지각을 없앨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데 있다. 이러한 연행들은 참여자들(연행자ㆍ프로듀서ㆍ청중)을 현실이면서 가상의 공간 속에 능동적이며 다 감각적으로 몰입케 한다.
목차
1. Introduction
2. Ethnomusicology and Performance Space
3. A Virtual “Aesthetic Space”
4. Music Performance in the Conference Context: AAS as Case Study
1) Performers: Chindon’ya
2) Performers: Aeolian Trio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