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문예창작 전공 학습자의 서술어 문제와 개선 방향 — 단국대학교 소설창작수업 사례 연구

원문정보

The Literary Creation Learner’s Predicate Problem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 The case study of fiction creation class in Dankook University

김태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 sentences are composed based on the sentence components required by the descriptive word, an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sentence vary in the method of using the descriptive word, and create a wide gap in sentence level. While the use of descriptive words in creation is a factor that determines sentence aesthetics, ‘descriptive words’ have not attracted attention as an object of educational discussion. In short stories that value compressive aesthetics, the limited use of uneconomical and low-efficiency narratives eventually results in limited expression and imagination of the work. Although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levels of descriptive words that create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distance for objects and express detailed senses, inexperienced descriptive words are being repeated introspectively in today’s creative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ed perception of sentences by statistically exploring representative inefficiency cases of descriptive words in the creative classroom and presenting improvement plans for thi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selectively review the types of low-utility and high-frequency descriptive words frequently committed by learners in the creative education field and to present teaching plans that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sentences.

한국어

한국어 문장은 서술어와 서술어가 요구하는 문장 성분을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고, 서술어 활용 방식에서 문장의 짜임새와 의미 전달의 폭이 달라지 며 문장 수준의 격차를 크게 발생시킨다. 창작에서 서술어의 쓰임이 문장미 학을 결정하는 요소인 것에 비해 ‘서술어’는 교육적 논의의 대상으로 주목 받지 못했다. 압축적 미학을 중시하는 단편소설에서 비경제적이며 저효율의 서술어의 한계적 사용은 결국 작품의 표현력과 상상력을 한정적으로 귀결시킨다. 대 상에 대한 인식적 거리의 원근을 만들고 세밀한 감각을 표현하는 다양한 층위의 서술어의 활용이 가능함에도 오늘의 창작 교실에서 미숙한 서술어가 무반성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본고는 창작 교실에서 서술어의 대표적 비효율 사례를 통계적으로 탐색 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여 문장에 관한 발전된 인식 기여를 목적 으로 한다. 또한 창작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가 자주 범하는 저효율 고빈도 서술어 유형을 선별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보여줌으로써 문장의 질 적 향상에 기여하는 교수방안을 제시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목차

국문 요약
1. 서론 : 문장미학의 결정 요소인 서술어
2. 서술어의 문제 유형
1) ‘있다’ 가 가진 저효율성
2) 서술어 ‘ 같다’ 가 가진 관습성
3) ‘생각하다’가 가진 모호성
3. 개선방안과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태수 Kim Taesoo. 단국대학교 문예창작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