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HP를 활용한 지방의회 생산성 지표개발 연구 - 경기도의회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ductivity Indicators for Local Councils using AHP Analysis - Focused on Gyeonggi-do Council -

노성민, 유두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importance of decentralization and local autonomy is emphasized, the role and function of local councils are being discussed continuously.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functions of local councils and to suggest measure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local councils. This study was conducted centered on the Gyeonggi -do Council, and using an analysis method that combined the Delphi technique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he functions of the local council, measurement indicators, and detailed items of indicators were derived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ident representative function, the voting function, the legislative function, the check and monitoring function, and the active administrative function were derived as functions to check the productivity of the Gyeonggi-do Council. appeared to be of high priority. Considering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analysi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learning space for securing the expertise of local councilors as a way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local councils, consider ordinances and practical operation of legislative functions, establish status through efficient checks on the executive branch,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feedback system for the realization of active administration.

한국어

지방분권과 지방자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지방의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논의도 지속 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지방의회의 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와 지방의회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회 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과 계층화 분석(AHP)을 결합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지방의회의 기능과 측정지표, 지표의 세부항목을 도출하고 상대적 중요 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주민대표기능, 의결기능, 입법기능, 견제 및 감시기능, 적극의정 기능이 경기도의회의 생산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으로 도출되었고 1계층인 지방의회 기능 의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입법기능과 주민대표기능이 높은 우선순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 다. 종합적인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지방의회의 생산성 제고 방안으로 지방의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학습의 장 마련, 조례에 대한 고찰과 입법기능의 실질적 작동, 집행부에 대한 효율적 견제를 통한 지위 확립, 적극의정 실현을 위한 피드백 체계 구축을 제시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지방의회 생산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지방의회의 기능 및 의의
2. 지방의회의 생산성에 대한 논의
Ⅲ. 연구설계
1. 분석대상 및 분석방법
2. 델파이 기법 설계 및 결과
3. AHP 조사 설계
Ⅳ. AHP 분석결과
1. 응답자 특성
2. 계층별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지방의회 생산성 제고 방안
1. 지방의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학습의 장 마련
2. 조례에 대한 고찰과 입법기능의 실질적 작동
3. 집행부에 대한 효율적 견제를 통한 지위 확립
4. 적극의정 실현을 위한 피드백 체계 구축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노성민 Roh, Sungmin. 한남대학교
  • 유두호 Yoo, Dooho. 연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