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xplor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Operation of Small School to Transform the Future Education System : Focusing on the Linkage between the Same School Level
초록
영어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uggest a model for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ame school level based on the problems of small school operation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order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power of small school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utonomy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prepare a cross-guided plan for teachers, strengthen teacher training, organiz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organizations, support the connection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etween schools, and provid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s a linkage model between the same school level, a shared-type linkage model, a base-type linkage model, and a campus-type linkage model were propose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policy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small schools along with support measures for the linkage model between the same school levels were proposed by dividing them into short-term and mid-to-long-term tasks.
한국어
이 연구는 미래교육체제로의 전환을 대비하여 소규모학교 운영의 문제점과 시도교육청의 요구를 토대로 동일 학교급 간 연계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 개선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소규모 학교의 교육력 강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확대, 교원의 교차지도 방안 마련, 교 원 연수 강화, 다양한 교수·학습조직 편성, 학교 간 인적·물적 자원 연계 지원 및 행·재정적 지원 등 이 필요하다. 동일 학교급 간 연계 모델로는 공유형 연계 모델, 거점형 연계 모델, 캠퍼스형 연계 모 델을 제안하였으며, 각 학교가 위치한 지역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연계 방식이 가능 하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동일 학교급 간 연계 모델을 위한 지원 방안과 함께 소규모학교 운 영을 위한 정책적 지원 사항을 단기 및 중장기 과제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소규모학교 운영 현황 및 시도교육청 요구 사항
1. 소규모학교 현황 및 문제점
2. 소규모학교 정책 관련 시도교육청의 노력
3. 소규모학교 운영 관련 시도교육청 요구 사항
Ⅲ. 동일 학교급 간 연계 모델
1. 동일 학교급 간 연계 모델의 필요성 및 개념
2. 동일 학교급 간 연계 모델의 유형 및 특징
Ⅳ. 동일 학교급 간 연계 모델 운영을 위한 지원 방안
1. 소규모학교 활성화를 위한 수업의 질 향상 방안
2. 소규모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방안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