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f Probability Education
초록
영어
In this study, 85 studies on probability education from 2000 to 2020 were analyzed by publishing year, journal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topics. Especially, fundamental probabilistic ideas presented by Batanero et al.(2016) were applied to examine which topics were dominant in domestic probability education research.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has been a few research in probability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past 20 years, and the number of human subject studies was slightly more than the number of non-human subject studie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research topics according to the fundamental probabilistic ideas showed that two topics, conditional probability and independence and combinatorial enumeration and counting, were dominant in domestic probability education research. However, while both conditional probability and independence and combinatorial enumeration and counting are introduced to young children using intuitive manners in international probability education research, subjects related to these topics were primarily high school students and pre and in-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goal and the direction of future probability education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확률교육 실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2000년 이후 출간된 국내 확률교육 연구논 문 85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난 20년 동안 국내 확률교육에 관한 논문의 양이 상당히 적은 것 으로 나타났으며, 인간 대상 연구가 인간 비대상 연구 비중보다는 조금 더 높았으나 더 많은 교수실험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연구 주제별 분석 결과, 독립성과 조건부확률, 조합과 세기가 많이 다루 어지고 있었는데 국외에서는 이 주제들이 어린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루어져야 하고 직관적인 수준에서 어떻게 교수-학습이 가능할지 많이 연구되고 있는 것에 비해, 국내에서는 대부분 고등학생 이상을 대 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확률교육 연구의 과제와 발전 방 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확률교육 연구
2. 확률에서의 핵심 아이디어
Ⅲ.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 기준
Ⅳ. 연구 결과
1. 연도 및 학술지별
2. 연구 대상별
3. 연구 주제별
V. 논의
1. 조합과 세기
2. 조건부확률과 독립성
VI.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