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Employees' Sources of Calling and Life/Job Satisfaction

원문정보

한국 직장인의 소명 원천과 삶/직무 만족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Pimjai Choojun, Jakyung Seo, Young Woo Soh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st research on calling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life/job satisfaction in general.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analyzed the effects of calling based on its different sources. This study examined the endorsement level of each source and explored the effect of calling on life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different sources. In this study we divided calling sources into four categories by grouping the existing concepts of calling: external summons/destiny, duty/obligation, personal fulfillment, and prosocial motivation. Data (N = 305) were collected via online surveys from Korean employees who perceived a calling. They rated each source according to the level of endorsement they perce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alling source and life/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along with living a calling as a moderator.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personal fulfillment and prosocial motivation related positively to life/job satisfaction, while duty/obligation related to neither. External summons/destiny related to only life satisfaction, and living a calling served as a moderator only in this relations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employees do not need to live their calling to be satisfied with their life and job, if the calling they perceived is for their own personal fulfillment or come from prosocial motivation. Thus, finding or doing a job that serves such internal sources as personal fulfillment and prosocial motivation is recommended in order to maintain happiness in life and career. In addition, the highest endorsement by Korean employees was personal fulfillment, following by prosocial motivation, duty/obligation, and external summons/destiny. Evidently, the source of calling leads to different levels of life/job satisfaction. Future research needs to explore this further.

한국어

소명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소명과 삶/직무 만족의 관계를 전반적으로 밝혀왔지만, 소명의 다양한 원천을 통해 소명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 본 연구는 직장인이 소명을 갖는데 미치는 각 원천의 영향을 조사하고, 원천의 차이에 따라 소명이 삶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에서 정의한 소명의 다양한 개념들을 그룹화하여 소명 원천을 초월적 부름/운 명, 의무/책무, 개인적 성취, 친사회적 동기 등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각 소명 원천의 효과를 검증 하기 위해 소명을 가지고 있는 한국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N = 305) 를 수집하였다. 설문 참가자들은 그들이 인지한 영향의 수준에 따라 각 소명 원천을 평가하였다. 네 가 지 소명 원천과 삶/직무 만족의 관계를 분석하고 각 소명 원천과 삶/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소명 실행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개인적 성취와 친사회적 동기가 삶/직무 만족과 긍정적인 관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의무/책무는 삶/직무 만족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월적 부름 /운명은 삶의 만족과만 관계가 있고 이 관계에서만 소명 실행이 조절 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직장인들이 인식한 소명이 자신의 개인적 성취를 위한 것이거나 친사회적 동 기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그들의 삶과 직업에 만족하기 위해 소명을 실행할 필요가 없음을 시사한다. 따 라서, 삶과 직업에서 행복을 유지하기 위해 개인적인 성취와 친사회적 동기와 같은 내적 원천을 제공하 는 일을 찾거나 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본 연구의 한국 직장인 샘플에서는 네 가지 소명 원천 중에 서 개인적 성취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친사회적 동기기, 의무/책무, 초월적 부름/운명 순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소명 원천이 차별적인 수준의 삶/직무 만족으로 이어지며 향후 연 구에서 이 메커니즘을 더 탐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2.1. Sources of Calling
2.2.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2.3.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2.4. Living a Calling as a Moderator
2.5. Research Questions
Ⅲ. Method
3.1. Participants
3.2. Operational definition
Ⅳ. Results
4.1. Sample characteristics
4.2. Pearson’s correlations
4.3.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4.4. Moderation analyses
Ⅴ. Discussion
References
국문요약

저자정보

  • Pimjai Choojun Yonsei University
  • Jakyung Seo 서자경. Yonsei University
  • Young Woo Sohn 손영우. Yonsei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