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의 원격수업 콘텐츠 활용 유형에 따른 원격수업 운영역량 및 효과성 인식

원문정보

How do Teachers Use Online Learning Contents Amid the COVID-19 Pandemic? : Focusing on Teachers’ Competency for Distance Class Operation

이성원, 조서연, 함은혜, 임다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ers’ distance class content usage type in response to COVID-19 by school level and explored whether the content usage type is related to their own perceptions of competency for distance class operation. For this study, 4,087 response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us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t all school levels, the percentage of teachers who used third party provided content or used third party provided content with supplementary material was the highest, while the percentage of teachers who used self-developed content or used various contents including self-developed content was relatively low. Second, at all school levels, teachers who used self-developed content for distance class highly perceived their competency for distance class operation. I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clas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teachers using third party provided content highly appreciated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class, but in the case of middle and high schools, teachers using self-developed content did. Third, whether teachers use self-developed content or various content in distance class were depending on distance class training experience, use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eaching experience, school level, and school loc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한국어

이 연구는 코로나19에 대응한 학교급별 교사의 원격수업 콘텐츠 활용 유형을 분석하고, 콘 텐츠 활용 유형이 원격수업 운영역량 및 효과성에 대한 인식과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20년 5월 A도 교육청 소속 초·중·고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데이 터 중 총 4,087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교급에서 EBS와 교육청이 제공한 콘텐츠를 활용하거나 제공 콘텐츠를 온라인 보조자료와 함께 활용한 교사의 비율이 가장 높았던 반면,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제작하거나, 자체제작 콘텐츠를 포함 한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했던 교사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모든 학교급에서 자체 제작 콘텐츠를 활용했던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역량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원격수업의 효과 성에 대한 인식은 초등학교의 경우 제공 콘텐츠를 활용한 교사가 높았으나, 중학교와 고등학 교의 경우 자체제작 콘텐츠를 활용한 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사 가 원격수업에 자체제작 콘텐츠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는 데에는 원격수업 관련 연수 경 험, 전문적학습공동체 활용, 교직경력, 학교급, 학교소재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향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코로나19 이후 원격수업에서 콘텐츠 활용 실태조사
2.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역량과 콘텐츠 활용
I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분석자료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IV. 연구 결과
1. 학교급별 콘텐츠 활용 유형
2. 콘텐츠 활용 유형에 따른 원격수업 운영역량 및 효과성 인식 차이
3. 교사 배경변인별 효과적인 콘텐츠 활용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성원 Seong Won Lee. 공주대학교 석사수료
  • 조서연 Seo Yeon Cho. 공주대학교 석사과정
  • 함은혜 Eun Hye Ham. 공주대학교 부교수
  • 임다미 Tami Im. 공주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