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East Asian military balance of power forced the Khitan empire to adopt passive strategies of the “conservative Manchurian frontier state” in the 11th century.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Khitan military power needs to take into account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ize of the military, effectiveness of the cavalry, topography, and military strategies, etc. In the early 10th century, the Khitan expanded its influence into Manchuria and the steppe regions of Mongolia. It also destroyed the Later Jin and occupied the ancient capital city of Kaifeng in 947, but had to retreat within three months as it encountered fierce Han Chinese resistance. The Khitan would never again attempt to conquer territories within the China Proper or send expeditions deep into the Song territory except in 1004, when the Khitan force advanced to the northern shore of the Yellow River. After the Treaty of Shanyuan with the Song, the Khitan also clashed with the Korean state of Goryeo for several decades. However, the Khitan sought to maintain peaceful relations with both Goryeo and Tangut Xia to secure its borders. Khitan troops were rarely able to capture well-defended walled towns and fortresses and struggled against Song’s defensive system of artificial lakes, ditches, and forests. The powerful Khitan cavalry forces found little military success in foreign expeditions as they fought in unfamiliar environment. Limitations of the Khitan military power w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eace in the mid-11th century Northeast Asia.
한국어
10세기 초 거란은 발해를 멸망시키고 북방 초원으로 세력을 확장하며 남으로는 중원의 일부 연운16주를 점령한다. 947년에는 후진을 정복하 고 개봉을 함락하지만, 한족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혀 3개월 만에 북으로 철수해야 하였다. 거란은 1004년 전연의 맹약 이후에는 변경의 방어에 치중하는 소극적 전략을 보여준다. 당시 동아시아에는 다원적 국제질서 의 세력균형이 유지되었는데 여기서 “세력균형”이란 하나의 국가가 주 변의 여러 나라와 동시에 전쟁을 진행하는 능력을 갖추지 못한 국제질 서의 상황을 말한다. 거란의 안위를 직접 위협한 국가는 연운16주의 회 복을 포기하지 않은 송이었고 거란이 가장 우려한 상황은 송과 고려의 협공이었다. 10세기 말 거란의 핵심 정예기병은 대략 10만 정도로 추정 되는데, 이후에도 최대 규모는 30만을 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거란의 군사력에 대한 평가는 기병과 보병의 조직, 군대의 규모, 지형, 전략 등 여러 요소를 종합하여 유추해야 한다. 거란은 강력한 기병을 보유하였 지만 험준한 산악과 하천의 자연적 지형과 송이 구축한 방어시설을 극 복하지 못하였고 고려·대하와의 전쟁에서도 낯선 환경에서 크게 고전하 였다. 11세기 “정복왕조” 거란은 군사력의 한계로 인해 영토 확장과 정 복 활동에 나서지 않고 변경을 방어하는 소극적 전략을 추구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거란군의 규모
Ⅲ. 대송 전쟁에 보이는 거란의 군사력
Ⅳ. 고려·대하와의 충돌과 거란 군사력의 한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