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기획 2 ] 근대문학과 다방

1930년대 경성 다방 낙랑 연구 : 문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Nangnang, a Dabang in Gyeongseong in the 1930s : Focusing on its Relevance to Literature

김민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Nangnang, a representative dabang in Gyeongseong in the 1930s. Since Nangnang was opened in Hasegawamachi in Gyeongseong in 1932, it has been a space of gathering for many artists including writers and has played a role as the cradle of contemporary culture and art. In order to properly examine the significance of Nangnang, the significance of the Hasegawamachi in Gyeongseong, which was divided into the South and North areas, was first explored. Hasegawamachi was a representative area that showed that Joseon was a Japanese colony. Nangnang began to appear in many literary works of the time as the background setting of the works. In this paper, various photographs and press releases of Nangnang, and literary works of the time that used Nangnang as the setting was examined. Nangnang appeared as a representative space where writers to gathered and interacted, but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described as a place that represented the negative side of dabangs. By the late 1930s, its significance as the center space for artists began to be gradually lost. In the end, Nangnang could be seen as an important space that represents the era of the 1930s, when literature and art were developed in a special situation where colonial capitalism was intensifying.

한국어

본 논문은 1930년대 경성의 대표적인 다방인 낙랑의 의미를 새롭게 살피기 위한 의도에서 씌어졌다. 낙랑은 1932년 경성부 장곡천정에 문을 연 이후로 문인을 비롯한 많은 예술가들이 모여드는 공간으로 당대 문화 예술의 산실과도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낙랑의 의미를 제대로 살펴보 기 위해 우선적으로 남・북촌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성 내의 장곡천정이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곡천정은 조선이 일제의 식민지라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낙랑은 당대의 많은 문학작품에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문학 작품 속의 배경 공간으로 등장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낙랑의 각종 사진 자료와 보도 자료 및 낙랑을 등장시키고 있는 당대의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낙랑은 문인들이 모 여 교류하는 대표적인 공간으로서 등장하지만, 동시에 다방의 부정적인 면을 표상하는 곳으로 묘사되기도 하였다. 1930년대 후반에 이르면 문화 예술인 중심의 공간으로서 지니는 의미도 점차 상실되기 시작한다. 결국 낙랑은 식민지자본주의화가 극심해져 가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문학예 술을 전개해 나갔던 1930년대적 시대상을 표상하는 중요한 공간이라 볼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낙랑’의 지리적 입지와 장소성
2.1. 장곡천정 내 ‘낙랑’의 지리적 입지
2.2. 문화예술 중심의 다방문화 구축
3. 1930년대 문학작품 속 ‘낙랑’
3.1. 예찬과 비판: 낙랑을 둘러싼 상반된 시선
3.2. 변모와 퇴조: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장소성 상실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민수 Kim, Min-su.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