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리적 범죄두려움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Vicarious Fear of Crime

이상훈, 정병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crime and quality of life can lead to serious social problems, since the 1960s, it has become an important field of studies in criminology and in sociology, and the issue of how to manipulate and measure the concept of fear of crime became a central issue in early studies. Despite the high arrest rate and high level of security by criminal justice agencies, because Koreans also live with fear of various types of crime, to fi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discussions about the cause have been mainly conducted in the domestic criminology and criminal justice fields. Fear of crime is a complex emotional response, and it is impossible to explain it with a few specific factors, and so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examining general fear of crime and specific fear of crime. However, in this study, among the explanatory factors of fear of crime, it was limited to the vicarious fear of crime, and models explaining the causes of vicarious fear of crim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empirically verify the most suitable model for studies of vicarious fear of crime. Tha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vicarious fear of crim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econdary data from the ‘Korean Crime Victim Survey(2016)’ conducted by the Korea Criminal Policy Research Institute was used, and 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explanatory model,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explanatory model.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xplanatory model of vicarious fear of crime, it was found that the crime vulnerability model showe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and that the community policing model showed the lowest explanatory power. Among the explanatory models of vicarious fear of crime, specifically examining the crime vulnerability model, which has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all variables such as comparative vulnerability, resistance ability, and recovery ability were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m, recovery ability was analyzed as a relatively high factor. This study is considered to have academic value in that it presented the root cause of the vicarious fear of crime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starting wit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the vicarious fear of crime will be activated.

한국어

범죄두려움과 삶의 질의 관계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1960년대 이후 범죄학과 사회학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가 되었으며, 범죄두려움이라는 개념 을 어떻게 조작화하고 측정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초기 연구들의 핵심 문제가 되었다. 우리나라 국민들 역시 형사사법기관의 높은 검거율과 높은 치안수준에도 불구하고 다 양한 유형의 범죄두려움을 느끼며 살아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그 원인이 무엇인지에 관한 논의가 국내 범죄학 및 형사사법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 다. 범죄두려움은 복합적인 감정적 반응으로써 특정한 몇몇개의 요인으로 이를 설명하 는 것은 불가능하며, 기존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주로 일반적 범죄두려움 및 구체적 범 죄두려움을 검증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범죄두려움의 설명요인 중 대리적 범죄두려움으로 한정하고, 대리적 범죄두려움의 원인을 설명하는 모델들을 비교 및 분석하여 대리적 범죄두려움 연구에 가장 적합한 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이 연구의 목적은 어떠 한 요인이 대리적 범죄두려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전국범죄피해조사(2016)’의 2 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각 설명모델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단순 상관관계 분 석을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설명모델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 다. 대리적 범죄두려움의 설명모델을 검증한 결과, 범죄취약성 모델이 가장 높은 설명 력을 보이고 있으며, 지역사회경찰활동 모델이 가장 설명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리적 범죄두려움의 설명모델 중에서 가장 설명력이 높은 범죄취약성 모델을 구체적 으로 살펴보면, 비교취약성, 저항능력, 회복능력 등 모든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중에서도 회복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요인으로 분석되었 다. 이 연구는 대리적 범죄두려움의 근본 원인을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가치가 있다고 사료되며, 이 연구를 시작으로 대리적 범죄두려움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적 연구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상훈 Lee, Sang Hun. 신라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초빙조교수
  • 정병수 Jung, Byung Soo. 세한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