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types of stalkers by nominalizing various stalking behaviors and verifying its nominalized patterns. For this purpose, from 2017 to December 2019, 336 data on first-instance judgments convicted of killing an intimate partner were collected. Among them, after reclassifying 177 cases shown in previous studies, in which the stalking is specified in the judgment as a precursor to homicide, categorized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LC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inally confirmed that the three classes were statistically appropriate; accordingly, Class 1 was named ‘destructive stalking type’ that destroys the victim’s life, Class 2 was named ‘bondage stalking type’ that restrains the victim’s daily life, and Class 3 is a ‘possessive stalking type’ that exhibits typical patterns such as obsession and intimidati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type were as follows: in the case of victim's age, age increased in the order of destructive stalking, bondage stalking, and possessive stalking; in the case of the intention of crime plan, it tends to be judged as a deliberate crime in the destructive and bondage stalking compared to the possessive stalking.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were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스토킹행위를 명목화시켜 스토커들의 유형을 파악하고 명 목화된 패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친밀한 파트너를 살해하여 유죄판결을 받은 1심 형사판결문 자료를 336건을 수집하였다. 이 중 선행연구 에서 나타난 스토킹행위가 살인의 전조로 판결문에 명시되어 있는 177건을 재분류한 후 잠재계층분석(LCA)을 통해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종적으 로 3개의 Class가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ss 1은 피해자의 삶을 파괴 하는 ‘파괴적 스토킹 유형’, Class 2는 피해자의 일상을 구속하는 ‘속박적 스토킹 유형’, Class 3은 집착 및 협박과 같은 전형적인 패턴을 보이는 ‘소유적 스토킹 유형’으로 명명 하였다. 각 유형에 따른 중요 차이로는 피해자의 연령의 경우 파괴적 스토킹, 속박적 스 토킹, 소유적 스토킹 순으로 연령이 증가하였고, 범행의 계획성은 소유적 스토킹에 비해 파괴적, 속박적 스토킹이 계획적인 범죄로 판결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의의에 대해 제언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경찰청 (2021). 「스토킹 대응 매뉴얼」75-76.
- 2곽영길, 임유석, 송상욱. (2011). “스토킹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7): 47-76.
- 3강소영 (2021).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스토킹행위의 유형 분류”. 「한국경찰학회보」, 23(5): 159-186.
- 4강지은·김성현·이수정. (2021). “스토킹범죄 근절을 위한 경찰 조기 개입의 필요성 :미국, 캐나다,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15(2), 97-128.
- 5김사현·홍경준. (2010). “잠재계층분석방법을 통한 서울시민의 복지 태도 연구”. 「사회복지정책」, 37(2): 95-121
- 6김성희, (2021). “친밀한 파트너 살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스토킹행위 유무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7김정연, (2021). “제정 스토킹범죄처벌법의 스토킹행위의 유형 분석 및 향후 과제”. 「젠더리뷰」, 21(여름호): 39-46
- 8조무용·김정인 (2016). “성평등인식과 성차별주의가 스토킹통념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1): 109-134.
- 9한민경, (2021). “법정에 선 스토킹 : 판결문에 나타난 스토킹행위의 유형과 처벌을 중심으로”. 「원광법학」, 37(1), 65-92.
- 10「여성신문」, (2016). 가락동 스토킹 살해 재판장 ‘살인사건 중 가장 극악’.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