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Koreanische Beiträge>

시민교육의 전문성은 무엇인가? - 독일 정치교육의 교수법 원칙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What is the professionality of civic education? - Focusing on the professional teaching principles of German Politische Bildung

장준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philosophical viewpoint, German Politische Bildung is combined dialectically with the enlightenment,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Values of enlightenment and liberalism was projected in Beutelsbach’s consensus(Prohibiting of compellence –injection, Reenacting of controverse, and considering of self-interest) of the year 1976. By reviewing of Beutelsbach’s consensus in 1996, the principle of considering self-interest was coupled with the value of regarding public interest which was the communitarian philosophy. In German National Standard of Politische Bildung which was prepared in 2004 has been pronounced not only that Politische Bildung aims to the political maturity of students but also that the political maturity consists of three competences(political judgement, activity, and learning). In order to realize these philosophy of Politische Bildung, Professor Sander has suggested the professional teaching method in his [Handbook of Politische Bildung].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systematic relation between Beutelsbach’s consensus, German National Standard of Politische Bildung, and the professional teaching methods which are presented in [Handbook of Politische Bildung]. In other word, it intends to show that the philosophy of Beutelsbach’s consensus and German National Standard of Politische Bildung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professional teaching methods which are presented in [Handbook of Politische Bildung]. The five principles, that are (1) orientation of addressee, (2) orientation of problem-solving, (3) orientation of activity, (4) orientation of science, (5) orientation of dialogue-case study-controverse which are presented in [Handbook of Politische Bildung], are the professional teaching method realizing the spirit of Beutelsbach’s consensus and German National Standard of Politische Bildung.

한국어

철학적으로 보면, 독일의 정치교육에는 계몽주의, 자유주의, 공동체주의가 변증법적 으로 결합되어 있다. 1976년 보이텔스바흐 합의(강압금지, 논쟁성원칙, 자기이해관계고 려)에 계몽주의와 자유주의의 철학이 강하게 투영되었지만, 20년이 지난 1996년에 보이텔스바흐 합의가 재검토될 때는 자기이해관계고려의 원칙에 “공익(공동체의 질서와 이익)”에 대한 고려라는 공동체주의의 철학이 결합되었다. 2004년의 [정치교육 국가표 준안]에서는 보이텔스바흐 합의에 깃든 세 가지 철학에 기초하여 정치교육은 “학습자의 정치적 성숙”을 지향한다고 표명되었다. 정치적 성숙성은 정치적 판단역량, 정치적 행위 역량, 방법적 역량 등 세 가지 핵심역량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정치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잔더 교수의 “정치교육 핸드북”에는 전문적 교수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 글은 보이텔스바흐 합의, [정치교육 국가표준안], “정치교육 핸드북”의 전문교수법 을 살펴보며 그것들 간의 유기적 관계를 분석하려고 했다. 즉,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국가표준안의 철학이 “정치교육 핸드북”에 제시된 전문교수법과 긴밀히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정치교육 핸드북”에 교수법의 원칙으로 제시된 수신자지향원칙, 문제지향원칙, 활동지향원칙, 학문지향원칙, 대화-사례-논쟁원칙은 보이텔스바흐 합 의와 국가표준안의 정신을 충실히 실현하는 전문교수법이다. 즉, 그 다섯 가지 원칙은 정치교육에서 목표로 추구하는 성숙한 시민성의 구성요소인 시민역량(판단역량, 행위역 량, 학습역량)을 촉진하는 교수법인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전문교수법의 기초: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학교정치교육 국가표준안
1. 보이텔스바흐 합의 3원칙
2. 학교정치교육 국가표준안
III. 정치교육의 전문교수법
1. 수신자지향원칙(Adressatenorientierung)
2. 문제지향원칙(Problemorientierung)
3. 활동지향원칙(Handlungsorientierung)
4. 학문지향원칙(Wissenschaftsorientierung)
5. 대화-사례-논쟁원칙(Gespräch-Exemplar-Kontroversität)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준호 Chang Jun ho. 경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