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ransformation of the Cultural Understanding and Response Method of Adolescent Cyber Gambling*
초록
영어
Unlike offline gambling, cyber gambling crimes that are not constrained by space and time are steadily increasing. In particular, with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adolescents have emerged as a new subject of cyber gambling. However, unlike adults, adolescents share gambling activities as a play culture through peer groups. In addition, youth cyber gambling is not just a gambling act, but also leads to secondary crimes such as theft, fraud, assault, confinement, and sexual exploit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cultural approaches to current youth cyber gambling, analysis of occurrence status, and various countermeasures. First, adolescents in adolescence form their own culture by sharing behavior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with peers outside the scope of the family. Although gambling behavior itself is a deviant behavior, problem behavior is strengthened by adding positive factors such as financial benefits or the formation of new companionships through gambling. Second, the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s is mainly formed through a space called school. Eventually, gambling behavior spreads around schools, and secondary crimes resulting from it also target peers in school. Therefore, schools need to take measures for counseling and treatment along with educational disposition for gambling youth. In judicial proceedings, it is also necessary to impose dispositions on gambling adolescents from a treatment perspective. Third, even if adolescents who are offenders are managed and supervised, youth users will continue to flow in as long as illegal sites and programs are prevalent. Therefore, punishment for operators and developers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financial benefits of the deal should be confiscated.
한국어
오프라인 도박과는 달리 공간적·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사이버 도박 범죄는 꾸준히 증 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청소년은 사이버 도박의 새로운 주체 로 등장하였다. 그런데 청소년들은 성인과 달리 또래집단을 통해 하나의 놀이문화로서 도박 행위를 공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청소년 사이버 도박은 단순한 도박행위에 그치지 않고, 또래 간 절도, 사기, 폭행, 감금, 성착취 등의 2차적 범죄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사이버 도박에 대한 문화적 접근, 발생실태 분석, 다각적인 대 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들은 가정의 범위를 벗어나 또래와의 관계구축을 통해 행동을 공유하면서 그 들만의 문화를 형성한다. 도박행동 자체가 일탈행위임에도 불구하고 도박을 매개로 금전적인 이익이나 새로운 교우관계의 형성과 같은 긍정적인 요인이 가미되어 문제행동은 강화된다. 둘째, 청소년들의 또래관계는 주로 학교라는 공간을 통해 형성된다. 도박행동 또한 학교를 중심으로 전파되며, 도박의 중독성으로 인한 2차적 범죄도 학교내 또래를 대상으로 발생한 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도박 청소년에 대한 교육적 처분과 함께 상담과 치료를 병행하는 조 치를 내릴 필요가 있다. 한편 범죄로서의 청소년 도박행위에 대한 처리절차에 있어서도 치료 적 관점에서 사법처분을 부과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정이나 학교에서 아무리 청소년들을 관리·감독하여도 불법 도박사이트와 프로그 램이 사이버 상에서 성행하는 이상 청소년 이용자들은 계속해서 도박시장에 유입되기 마련이 다. 따라서 운영자와 개발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그들이 얻는 금전적 이득을 철저히 몰 수·추징함으로써 도박생태계에 대한 근본적인 제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청소년 사이버 도박 현상의 문화적 접근
Ⅲ. 청소년 사이버 도박 실태 및 현행 예방정책
Ⅳ. 청소년 사이버 도박문제 대응방식의 전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김성돈. (2016). 형법각론 (제4판).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2김세진. (2020). 청소년 도박중독 사례개입의 실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8, 113-129.
- 3김예나, 권선중. (2020). 청소년 도박문제 발달 및 자발적 회복 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1), 125-151.
- 4성용은, 조제성. (2018). 청소년 온라인 도박경험과 범죄행동: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통한 검증. 한국경찰학회보, 20(6), 191-217.
- 5오세연. (2018). 청소년 인터넷 도박 중독으로 인한 2차 범죄 실태와 대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정보연구, 4(1), 79-95.
- 6오윤선, 황인숙. (2016). 청소년문화론. 양서원.
- 7이민규, 김교헌, 김정남. (2003). 도박중독 실태와 도박 중독자의 심리사회적 특성: 지역별 비교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399-414.
- 8이승현, 서민수, 조윤오. (2019). 청소년 사이버 도박 실태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 9조성남, 박선웅. (2001). 청소년 하위문화와 정체성 정치: 또래집단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7, 117-162.
- 10조윤오. (2020). 영국의 청소년 사이버도박 대응 정책에 관한 소고. 한국중독범죄학회보, 10(1), 87-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