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茶문화 행사와 도자 문화 연계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Korean tea culture events and ceramic culture

임헌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ea culture festival', a regional festival, and the 'tea fair' for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ea and wholesale and retail trade of tea tools and tea-related derivatives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status of ceramic craft in the event and to establish the connection with ceramic craft. studied. The regional festival is a promotion for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green tea industry, which is a regional specialty, and is conducted with tea ceremony demonstrations, sales of tea tools, and exhibition promotion. Most of them focus on selling tea-related crafts. Tea culture festivals and exhibitions have been held in earnest since the 2000s, and have been increasing since 2014. This indicates that it is expanding into a space where consumers actively observe and purchase. By analyzing the role of ceramic crafts in tea culture festivals and tea exposition events, this thesis tried to enhance the field of ceramics expandability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ea and ceramic culture. , it can be seen that the utility of ceramic craft as a tea tool is a relationship that can develop together and coexist. In the progressive aspect of tea culture, ceramic crafts with functional and convenient designs suitable for drinking methods can be an opportunity for mutual growth between tea culture and ceramics crafts if we strategically respond to the demands of buyers.

한국어

지역축제인 ‘茶문화 축제’와 차의 생산과 소비, 다도구와 차 관련 파생상품의 도소매 거래를 위한 ‘茶박람회’를 연구대상으로 행사에서 차지하는 도자공예의 위상을 분석하고 도자공예와 연계성을 연 구하였다. 지역축제는 지역특산물인 녹차 산업의 생산과 소비를 위한 홍보로서 다례시연, 다도구 판매 및 전시 홍보로 진행되며, 茶 박람회 역시 차 산업 홍보부스 및 차 시음과 품평회, 다례 시연 등 행사 가 있다. 대부분 차와 관련된 공예품 판매에 비중을 두고 있다. 차문화 축제 및 박람회 개최는 2000 년대 이후 본격화되었고, 2014년 이후 증가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의 적극적인 참관과 구매가 이루어 지는 공간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알려준다. 본 논문은 차문화 축제와 차박람회 행사에서 차지하는 도자공예의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차와 도자 문화 연계성을 통해 도예인들의 영역 확장성을 제고 해보았으며, 이를 통해 차문화의 양대 요소인 차 의 생산과 보급, 다도구로서 도자공예의 효용성은 동반 상생의 발전할 수 있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점차 차 문화의 발전적 측면에서 음용 방식에 맞는 기능적이고 편리한 디자인의 도자공예품은 구매자 의 수요에 대응하는 전략적으로 대응하면 차문화와 도자공예가 공동 상생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범위
Ⅱ. 본론
1. 한국 차문화 관련 행사의 현황
1) 지역 문화관광 축제 형식의 차 문화 행사
2) 박람회 형식의 차 문화 행사
2. 차문화 행사와 도자공예
1) 지역축제 형 차 문화 행사 내 도자공예의 역할과 위치
2) 박람회 형 차 문화 행사 내 도자공예 역할과 위치
3. 차 문화 행사와 도자공예의 상생 발전을 위한 모색
Ⅲ.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헌자 Lim, Hun-Ja. 단국대학교 음악예술대학 도예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