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Fog’ Generation Experiment Presented in the 2009 and 2015 Revisi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teachers in relation to the ‘fog experiment’ in the 5th grade 'Weather and Our Daily Life' unit of the 2009 and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100 students, who are attending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aking courses in teaching research. After pre-learning about the 2009 and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guide book, pre-service teachers conducted the experiment in groups. After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individually presented answers to three questions,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nswer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24 (24%) preservice teachers who explained the difference in fog generation in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ith related scientific concepts such as condensation and water vapor, and only 1 (1%) of them explained the difference using the concept of saturation. Second, there were 48 (48%) pre-service teachers who found out the reason for the change in the fog experiment metho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Third, pre-service teachers valued the reproduction and success of experiments rather than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uch pre-service teachers suggested the use of alternative experiments or websit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 과학교과 서에 제시된 5학년 ‘날씨와 우리생활’ 단원의 탐구 중 ‘안개 실험’과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알아보았 다. 연구 대상은 교육대학교 학생 100명으로 초등과학 교재연구 강의에 참여한 학생들이다. 예비교사들은 두 교육과정에 대해 사전학습 후, 실험을 비교수행하고 논 의하는 자율적인 교재연구를 하였다. 그 후 예비교사들 이 개별적으로 답한 결과와 과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2009 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안개 발생 차이를 응결, 수증기 등의 관련 과학적 개념으 로 설명한 예비교사는 24명(24%)이었고 그중 1명(1%)만 이 포화개념을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 정 변화에 따른 안개실험 방법의 변화에 대해 그 이유를 알아낸 예비교사들은 48명(48%)이었다. 셋째, 예비교사 들은 과학적 지식의 중요성보다는 실험의 재현과 성공 을 중요시하였으며, 그런 예비교사들은 대체실험이나 동영상 자료 활용을 제안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안개 발생 실험 교육과정
4. 자료 수집 및 분석
Ⅲ. 결과 및 논의
1. 안개 발생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설명 유형
2. 안개 발생 실험 지도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제안
Ⅳ. 결론
국문요약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