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근대5종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레이저런(laser-run) 전문체력요인 사례분석

원문정보

Case Analysis of Professional Fitness Factors of Laser-run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Modern Pentathlon Athletes

윤재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the modern pentathlon, the starting order of the last laser run is decided according to the overall score of fencing, swimming, and horseback riding, and the respiratory circulatory system that can influence this new laser-run record Considering that variables such as maximal oxygen intake, heart rate, ventilation, and anaerobic threshold level greatly affect laser run records, this study developed a training program optimized for laser run record shortening for elite modern pentathlon athletes. The maximum oxygen uptake is lower than the overall average of 60.26ml/kg/min in this study, and the anaerobic threshold level is 49.43ml/kg/min. It was found to be quite low and at a similar level as a percentag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of Yoon Jae-ryang et al. (2018), the maximum heart rate was 186 beat/min and the maximum oxygen intake was 71.07 mL/kg/min, and the oxygen intake at the anaerobic threshold(AT) level was 59.58 mL/kg/min. Comparing with the research results that showed that the level of 83.89% VO2max was 83.89% VO2max, this K5 athlete had an anaerobic threshold level of 82.0% VO2max, which was rather low, but the maximum oxygen intake was 56.69ml/kg/min, which was evaluated as a very low level. The laser run is a race that must be repeated 4 times by hitting 5 shots every 800m run. Therefore, this K5 athlete has a very low maximum oxygen intake among cardiorespiratory endurance-related variables and an anaerobic threshold at a rather low level.

한국어

본 연구는 근대5종 경기는 펜싱, 수영, 승마경기의 종합득점 결과에 따라 마지막 레이저런의 출발순서를 결정하게 되며, 이러한 새로운 레이저런(Laser-run; 복합경기) 기록을 좌우할 수 있는 호흡순환계 변인인 최대산소섭취량, 심박 수, 환기량, 무산소성역치 수준 등이 레이저런 기록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엘리트 근대5 종 선수들에게 레이저런 기록단축에 최적화된 훈련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최대산소섭취량은 본 연구의 전체 평균치 60.26㎖/㎏/min보다 더 낮은 수준이고, 무산소성역치 수준은 전체의 평균치 49.43㎖/㎏/min로서 최대산소섭취량의 82.0%VO2max와 비교하면 산소섭취량으로는 상당히 낮고 백분율로는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윤재량 등(2018)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최대심박수는 186beat/min에서 최대산소섭취량은 71.07㎖/㎏/min으로 측정되었고, 무산소성역치(AT) 수준에서의 산소섭취량은 59.58㎖/㎏/min로서 83.89%VO2max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결과와 비교하면, 이 K5 선수는 무산소성역치 수준은 82.0%VO2max로서 다소 낮은수준 이나 최대산소섭취량도 56.69ml/kg/min로서 매우 낮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레이저런은 800m달리기마다 사격 5발을 명중시키는 방식으로 4회를 반복 실시해야 하는 경기로서 육상 중장거리에서 심폐지구력이 경기기록에 중요하게 작용한 것만큼 레이저런에서도 중요한 경기력요인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이 K5 선수는 심폐지구력관련 변인 중 최대산소섭취 량은 매우 낮은 수준이고 무산소성역치는 다소 낮은 수준이므로 최대산소섭취량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에 특히 중점을 두어야 하며 동시에 무산소성역치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도 적극 권장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절차
2. 연구 대상
3. 체격 및 신체구성 측성
4. 심폐기능 측정을 위한 운동부하검사(GXT)
5. 자료처리 및 평가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K1 선수
2. K2 선수
3. Lee3 선수
4. Lee4 선수
5. Lee5 선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재량 Yoon, Jae-Ryang.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