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신체활동 건강증진교육 분야 매칭 프로토콜 개발 표준화 전략 수립을 위한 델파이 조사

원문정보

A Delphi Study for Establishment of Standards Development Strategy in Physical Activity Health Promotion Education Relate Matching Protocol

이승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contents related to PAR 8e suitability of diagnosis name physical activity performance nutrition/exercise prescription program based on the opinion of 33 experts in industry, academia, research, and disease for establishing a standardization strategy for developing a matching protocol in the field of physical activity health promotion education based on prescription data. As an analogous study, it is a study that predicts future changes in the definition of WHO health in relation to dissemination and distribution, device environment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protection measures, and hindrances and obstacles.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physical activity guidance for holistic health promotion education, the predicted concepts of which movement elements need to be certified and standardized as a health promotion education program will also b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ICT-based diagnosis name PAR 8e electronic exercise prescription should be managed separately from the physical fitness measurement and exercise guidance areas based on physical education, but it is related to the physical, mental, social and spiritual mechanisms at the center of the definition of health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t has to be formatted with a matching protocol for the author identification system that exists, and it needs to be delivered as a PAR 8e electronic exercise prescription of HTML5 based on DRM EPUB in the form of a qualitative profile. It was found that, while establishing an environment in which people can freely choose, the holistic health promotion action must be linked to the differential health insurance premium system in the stage of collaboration with community health certification facilities, programs, health leaders, and equipment.

한국어

본 연구는 처방전 데이터 기반 신체활동 건강증진교육 분야 매칭프로토콜 개발 표준화 전략 수립을 위한 산․학․연․병 종사자 33명의 전문가 견해 중심에서 진단명 신체활동 퍼포먼스 영양․운동처방프로그램의 PAR 8e적합도 관련 콘텐츠를 유추해 보는 연구로써 보급 및 유통, 디바이스 환경 및 기술적 정보보호 조치, 저해 및 방해요인 등과 관련하여 WHO 건강의 정의 중심에서 미래 변화를 예측해 보는 연구이다. 특히, 전인적 건강증진교육을 위한 신체활동 지도영역에서 어떠한 움직임 요소가 건강증진교육 프로그램으로 인증되고, 표준화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지 그 예측되는 개념들도 조사해 볼 것이다. 그 결과 ICT 기반 진단명 PAR 8e 전자운동처방전의 상용화는 생활체육 기반의 체력측정 및 운동지도 영역과 엄연히 분리되어 관리되어야 하되, 세계보건기구의 건강의 정의 중심에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성적 매커니즘과 관련 있는 저작 식별체계 매칭프로토콜로 포맷 처리되어야 하며, 이는 질적 프로파일 형식의 DRM EPUB 기반 HTML5의 PAR 8e 전자운동처방전으로 전달될 필요성이 있고, 사용자 중심에서 언제 어디서나 장소에 제한 없이 건강행동 및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제반환경을 구축하되, 지역사회 건강인증 시설, 프로그램, 지도자, 장비와 협업 구축단 계에서 그 전인적 건강증진 행위가 반드시 건강보험료의 차등화 인센티브제로 연계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1. 국내외 u-mfw 시스템의 시장 동향
2. u-mfw시스템 상용 및 표준화 현황
Ⅲ. 조사 절차 및 방법
1. 자료수집 및 분석
2. 조사절차
3. 조사방법
Ⅳ. 조사결과
1. 1차 델파이 결과
2. 2차 델파이 결과
3. 3차 델파이 결과
4.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승주 Lee, Sung Ju. 가천대학교 AAL헬스케어스마트홈융합연구소,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