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perceived usefulness, information search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in the process of watching e-sports cont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n online survey centered on the MZ generation, and a total of 229 peop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verification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us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MZ generation, e-sports is IT-specific content that is not easy to share with other generations, and is mainly consumed individually, centering on smartphones and smart devices, which are personalized media devices. Second, it had a positive (+) significant influence on YouTube's interaction, perceived usefulness, information search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addition, perceived usefulness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information search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search and search satisfaction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behavioral intention.
한국어
본 연구는 e-스포츠콘텐츠를 시청하는 과정에서 유튜브의 특성 중 상호작용, 지각된유용성, 정보탐색만족도와 행동의도에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MZ세대들을 중심으로 온라인설문을 진행하여 총 229 명을 대상으로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요 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Z세대들에게 e-스포츠는 다른 세대와 공유하기 쉽지 않은 IT특화된 콘텐츠로 개인화된 미디어 기기인 스마트폰, 스마트 기기를 중심 으로 개인의 사적 공간과 시간을 통해 주로 소비한다. 둘째, 유튜브의 상호작용과 지각된 유용성, 정보탐색 만족도, 행동의 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은 정보탐색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 지만 행동의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정보탐색 탐색 만족도는 행동의도에도 정(+)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가설설정의 이론적 근거 및 연구모형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 도구
3. 자료처리 방법
Ⅲ. 연구결과
1. 측정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2. 상관관계 분석
3.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4. 연구가설의 검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강해영, 이장익, 김성완(2013). 스마트교육 수용의도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 141-144.
- 2김계수(2007). NEW AMOS 16.0 구조방적식모형 분석. 한나래.
- 3김기용(2015). 외로움의 정도에 따른 리얼 버라이어티프로그램 시청행태: 프로그램 내 등장인물과의의사사회 상호작용과 행복감을 중심으로.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 4김세영, 강명희(2016).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용성, 몰입, 인지된 상호작용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1), 85-110.
- 5김시내(2018). 소셜미디어의 상호작용적 특성에 기반한미술교육의 확장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6김재구, 소재무(2007). e-스포츠게임 참가 경험이 스포츠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5(2), 27-38.
- 7김재전, 박경자, 노희옥(2009). 기대일치성이 인터넷 쇼핑몰의 전반적 만족과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9(3), 313-336.
- 8김충현, 구준석(2012). 스포츠 구단 SNS 동일시와 스포츠 팬의 상호작용 및 행동의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광고학회, 23(8), 87-111.
- 9김태영(2019). 유튜브(YouTube) 이용동기의 사회적,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 10나스미디어(2019). https://www.nas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