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대한제국 시기 농업교육 실시와 농업교과서 발간 - 『初等學農業大要』 검정 청원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gricultural Education and Publication of Agricultural Textbooks during the Korean Empire

대한제국 시기 농업교육 실시와 농업교과서 발간 - 『초등학농업대요』 검정 청원본을 중심으로 -

김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the signing of the Korea-Japan Protectorate Treaty of 1905, Japan began to investigate the agricultural situation in Korea for colonial policies, such as Japanese agricultural immigration, and to seek promotion measures.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 and intellectuals wanted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vity as a basis for Korea’s wealth, strength,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As part of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the Residency-General strengthened vocational education promotion policy, especially the agricultural vocational education. Therefore, the agricultural education was expanded and implemented not only in vocational schools but also in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Residency-General. Although each school used the existing agricultural books as textbooks, new agricultural textbooks were published for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public schools or agricultural schools. These agricultural textbooks were approved and published as textbooks after being inspected according to the ‘Rules for Inspection of Textbooks’ promulgated in September 1908 by the Residency-General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extbooks. At that time, Heungsadan founded by Yu Gil-jun, also wrote Chodeunghagnongeobdaeyo (Elementary Agricultural Book) as an agricultural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and petitioned for an inspection. This study summarizes the bibliographical matters and the procedure of inspection of Chodeunghaknongeobdaeyo which remains in the copy of textbook inspection, and examines inspector’s direction of revisions and deletions recorded in the text. In addition, Chodeunghaknongeobdaeyo and Sinchannongeobgyogwaseo (New Agricultural Textbook) written by Fukushima, an inspector who examined this textbook,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what kind of procedure the textbook examination was conduct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textbook inspection system and what the actual textbook examination standards were. As a result of being inspected, it seems that Chodeunghaknongeobdaeyo was not permitted to be published because it did not meet the educational standards. The inspector requested correction or deletion of textbook descriptions where errors or inaccurate information, unclear expressions or terms were used.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it is an agricultural textbook for elementary education, he ordered deletion and correction of contents that were not appropriate for student level or agricultural technology that could not be applied to Korea's climate or land conditions. In addition, the results of comparison with the textbook written by Fukushima, support the speculation that the Chodeunghaknongeobdaeyo did not meet the educational standards and thus could not pass the inspection.

한국어

1905년 을사늑약 체결 후 일본은 일본인의 농업이민등 식민정책을 위해 한국의 농업 상황을 조사하고 진흥책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반면 한국정부와 지식인들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농업 생산력을 증진시켜 한국의 부국강병과 문명개화를 이루는 기반으로 삼고자 했고, 이를 위해 농업 진흥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통감부는 식민교육정책의 일환으로 실업교육 진흥책, 특히 농업 중심의 실업교육을 강화해 갔다. 그리하여 통감부의 주도하에 농업교육은 실업학교뿐 아니라 소학교까지 확대, 실시되었다. 각 학교에서는 농업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기존의 농업서를 교과서로 활용하기도 했으나 보통학교 3, 4학년 혹은 농업학교 학생들을 교육대상으로 한 새로운 농업교과서들이 발간되었다. 이들 농업교과서는 통감부가 교과서를 통제할 목적으로 1908년 9월 공포한 「교과용 도서검정규정」에 따라 검정을 받은 후 교과서로 인허를 받고 출판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유길준이 설립한 흥사단에서도 초등용 농업교과서로 『초등학농업대요』를 저술하여 검 정을 청원했으나 통과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현재 검정청원본 형태로 남아 있는 『초등학농업대요』의 서지사항과 검정 절차를 정리하고 본문에 기록된 사열원 의 수정과 삭제 요구 등을 검토하였다. 또 『초등학농업대요』와 이 교과서를 검정했던 사열원 후쿠시마가 저술한 『신찬농업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먼저 교과서 검정제 실시 후 교과서 검정이 어떤 절차를 거쳐 이루어졌는지, 실제 교과서 검정 기준이 무엇이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농업대요』는 검정을 받은 결과 교육적 방면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교과 서 출판을 허가받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열원은 교과서 기술에 오류가 있거나 부정확한 정보, 불분명한 표현이나 용어가 사용된 경우 수정이나 삭제를 요구했고, 또 초등교육용 농업교과서라는 점을 감안하여 학생들 수준에 적절하지 않은 내용이 나 한국의 기후나 토지 상황에 적용할 수 없는 농업기술 등에 대해서도 삭제와 수정을 지시했다. 또 사열원 후쿠시마가 검정에서 수정, 삭제하도록 지시한 내용을 그가 공저한 『신찬농업교과서』와 비교해 본 결과도 『초등학농업대요』가 교육적 방면의 기준에 부합 하지 못해 검정을 통과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추측을 뒷받침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근대 농학의 수용과 농업교육 실시
Ⅲ. 교과서 검정제 실시와 『초등학농업대요』검정 청원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소영 Kim, So-Young.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