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ntroversy over a Monk’s ‘Taking a Wife’ in Modern Japanese Buddhist Communities
초록
영어
At the center of the pro-Japanese and Japanese style controversies of Joseon Buddhism, there was always the issue of a monk’s taking a wife or marriage (Daecheo or Gachwi). What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ulture of taking a wife in Joseon Buddhism is, of course, Japanese Buddhism. Since taking a wife in Japanese Buddhism was officially recognized in 1872, which was much earlier than in Joseon, it is said that this culture of taking a wife came across to Joseon as it was and influenced Joseon Buddhist monks’ taking a wife. Especially the Joseon culture of taking a wife further spread after the revision of the law made by Japan in 1912 for the Korean Buddhism Order that formulated taking a wife in 1927, and Joseon Buddhist students who had been to Japan to study also contributed to this. Then, what was the phenomenon of taking a wife in the Japanese Buddhist communities like which closely affected Joseon? As a result of discussions in this study,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aking a wife in Japanese Buddhism continued till after 1939. In Japanese society, too, social conditions had not been organized to accept married Buddhist monks, and Japanese monks’ desperate struggles to get it socially recognized were continuously developed.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would provide a new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taking a wife first became common in Japanese Buddhism and affected Joseon Buddhism concerning the controversy over taking a wife in Joseon Buddhism.
한국어
조선불교의 친일, 왜색 논쟁의 중심에는 늘 대처(帶妻), 즉 승려가 여자를 취한다는 가취(嫁娶), 혼인 문제가 중심에 서 있었다. 이러한 조선불교의 대처 문화에 직접적 영향 을 끼친 것은 당연히 일본불교다. 일본불교의 대처 공인은 조선보다 훨씬 이른 1872년 에 이루어졌으므로, 이러한 대처 문화가 고스란히 조선에 건너와 조선 승려의 대처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조선 승려의 대처는 1927년 대처를 공인한 본말사법(本末寺 法) 개정 이후 더욱 확산하였고, 일본으로 유학을 다녀온 조선불교 유학생들도 여기에 한몫하였다. 그렇다면, 이렇게 조선에 밀접한 영향을 끼친 일본 불교계의 대처 현황은 어떠했을까? 이글에서 고찰한 바로는 일본불교의 대처를 둘러싼 논쟁은 1940년 이후까지 등장하였다. 일본 사회 역시 대처 승려를 받아줄 사회적 요건이 미정비 된 상태였고, 이를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위한 일본 승려들의 처절한 몸부림이 끊임없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이글에서는 일본불교가 먼저 일본 사회에 대처가 안정화되고 조선불 교에 영향을 미쳤다는 기존 연구에, 일본불교의 대처 현황도 동시에 시야에 두고 조선의 대처 문제를 논할 필요가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메이지기 ‘승려육식처대승수령’과 일본 불교계의 반응
Ⅲ. 1910년대 일본불교계 승려 처대 논쟁
Ⅲ. 1930년대 일본불교계 승려 처대 논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