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Ordination System and Priesthood Training System of the Taego Order of Korean Buddhism - A comparison with Foguangshan Temple of Taiwan and Soto Order of Japan -
한국불교태고종의 출가제도와 승가교육 체계에 대하여 - 대만 불광산사 및 일본 조동종과 비교 -
초록
영어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ordination system and priesthood training system of the Taego Order of Korean Buddhism to deter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In particular, the Foguangshan Temple of Taiwan and the Soto Order of Japan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dination system and priesthood training system of the Taego Order were the following four: First, it is the qualification of the priesthood through the two-step precepts administration: embracing and keeping the precepts and teachings of Buddha through ten precepts followed by monastic ordination. Second, it is the recognition of married priests through the Dharma master system. Third, it is the emphasis on the number of years into priesthood(僧臘) and the ability to learn the doctrine in the promotion of the priestly rank(法階). Fourth, it is the four-step priesthood training system, from grounding to basic training, specialized training, and retraining.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five for the betterment of the ordination system and priesthood training of the Taego Order. First, it is the institutional promotion of the priestly qualification through the subdivision of the priestly rank system. Second, it is to activate the Dharma master system by intensifying the authority and obligation. Third, it is to intensify the retraining of priests. Fourth, it is the need for priesthood training using existing universities that are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ifth, it is the need for education for priests’ children or families.
한국어
이 글은 한국불교태고종의 출가제도(出家制度)와 승가교육체계(僧伽敎育體系)를 분 석하여 그 특징을 찾고, 나아가 개선점까지를 제언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특히 대만 불광산사와 일본 조동종의 사례와 태고종을 비교분석하였다. 태고종 출가제도와 승가교육의 특징은 다음 4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사미계이후 비구계 수지(受持)라는 2단계 수계(受戒)를 통한 승려자격의 취득 이다. 둘째, 전법사(傳法師) 제도를 통해 재가승려(在家僧侶)를 인정한다는 점이다. 셋째, 법계(法階)의 승급에서 승랍(僧臘)과 교리학습능력이 강조된다는 점이다. 넷째, 기초 교육, 기본교육, 전문교육, 재교육으로 이어지는 4단계 승가교육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태고종 출가제도와 승가교육의 발전을 위해 다음의 5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법계제도의 세분화를 통한 승려자질 향상을 제도적으로 유도하자는 것이다. 둘째, 전법사의 권한과 의무를 강화하여 전법사제도의 활성화를 꾀하자는 것이다. 셋째, 승려의 재교육 강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교육부 인가의 기존대학을 활용한 승가교 육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다섯째, 승려의 자녀나 가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대만 佛光山寺의 출가제도와 승가교육 체계
Ⅲ. 일본 조동종의 출가제도와 승가교육 체계
Ⅳ. 태고종의 출가제도와 승가교육 체계
Ⅴ. 나오는 말 – 태고종 출가제도와 교육체계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