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양 언어 학습자를 위한 청유문 대조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Request Sentence for Modern Mongolian and Korean Language Learners

김기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types, compositions, meanings, and functions of Mongolian request sentences. They were subsequently analyzed by comparing them with Korean request sentences. Several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Mongolian requests are those within the structure of a command and are relatively closely bound up with the semantic category of command sentences. One characteristic common to both Korean and Mongolian requests is that they are both are identified by their terminal suffix at the end of the sentence. However, in Mongolian, requests do not have their own independent category, but are rather contained within the structure of commands. Korean differs in that requests are an independent sub-type of sentence structures, revealing a significant grammatical difference from Mongolian. Both languages construct requests by connecting the predicative verb with a sentence-terminal suffix, which makes the constructions generally similar. Mongolian, however, uses a personal sentence-terminal suffix, meaning that the speaker is able to indicate clearly the number of persons the request is to be acted upon. In contrast, Korean sentence-terminal suffixes reveal both the agent of the request and the relationship of the listener to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Korean system of honorific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몽골어 청유문이라 할 수 있는 문장에 대한 유형, 구성및 그의 의미, 기능 등을 종합, 정리해 살펴보고, 이를 기준으로 한국어 청유문과 서로 대조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몇 특징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말하고 있는 몽골어 청유문이란 몽골어의 명령문 범주 안에서 비교적 청유문 성격을 짙게 띠고 있는 문장을 설정해 지칭한 것이다. 몽골어에는 청유문이라는 개념이 따로 없다. 한국어 청유문과 몽골어 청유문은 모두 종결어미로 문장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는 유사점을 지닌다. 몽골어에서는 청유문이 독립적으로 몽골어 문장 유형의 하위 체계를 구성하고 있지 않고 명령문 안에 포함 되어 있지만, 한국어에서는 청유문이 독립적으로 문장 유형의 하위 체계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점은 문법적으로 큰 차이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양 언어가 모두 서술어 동사에 종결어미를 연결해 청유 문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본다면, 양 언어의 청유문 구성 방법은 기본 적으로 유사하다. 하지만 몽골어의 원망 ․ 명령법어미 또는 인칭종결 어미는 해당 행위가 몇 인칭으로 수행되는지를 명료하게 표현하는 반면, 한국어의 청유형 종결어미는 해당 행위 수행에 대한 수행자뿐만 아니라 상대높임법에 따른 다양한 높임 체계가 드러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현대몽골어의 청유문
3.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청유문 대조
3.1. 1인칭 종결어미 ‘-я/-е, -ё/’형과의 대조
3.2. 3인칭 종결어미 ‘-г’형과의 대조
3.3. 3인칭 종결어미 ‘-тугай2’형과의 대조
3.4. 3인칭 종결어미 ‘-аасай4’형과의 대조
4. 결론
참고문헌
요약

저자정보

  • 김기성 Kim, Kisung. Dankook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