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AHP 기반의 생활안전지수 모델 및 서비스 활용방안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Life Safety Index Model based on AHP and Utilization of Service

오혜수, 이동훈, 정종운, 장재민, 양상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aims is to provide a total care solution preventing disaster based on Big Data and AI technology and to service safety considered by individual situations and various risk characteristics. The purpose is to suggest a method that customized comprehensive index services to prevent and respond to safety accidents for calculating the living safety index that quantitatively represent individual safety levels in relation to daily life safety. Method: In this study, we use method of mixing AHP(Analysis Hierarchy Process) and Likert Scale that extracted from consensus formation model of the expert group. We organize evaluation items that can evaluate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s into risk indicators, vulnerability indicators, and prevention indicators. And We made up AHP hierarch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AHP decision methodology and proposed a method to calculate relative weights between evaluation criteria through pairwise comparison of each level item.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xpansion of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s in the future, the Likert scale is used instead of the AHP pair comparison and the weights between individual services are calculated. Result: We obtain result that is weights for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s and reflected them in the individual risk index calculated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model of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s, so the comprehensive index was calculated. Conclusion: In order to apply the implemented model, a test environment consisting of a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 app and platform was built, and the efficacy of the function was evaluated based on the user scenario. Through this, the life safety index presented in this study was confirmed to support the golden time for diagnosis, response and prevention of safety risks by comprehensively indication the user’s current safety level.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위험 특성과 개개인의 상황을 고려한 맞 춤형 예방 솔루션을 제공하는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연구개발의 일환으로, 일상 생활안전과 관련하여 개인의 현재 안전수준을 정량적 수치로 나타내는 생활안전지수를 산출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맞춤형 종합지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모델은 AHP(Analysis Hierarchy Process)와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를 혼용하는 방법으로, 전문가 그룹의 합의형성 모델을 기반으로 산출된다. 생활안전 예방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위험지표, 취약지표, 예방지 표 등으로 구분하고, 이를 AHP 의사결정 방법론에 따라 AHP 계층구조로 정의하여 각 레벨 항목의 쌍대비교 를 통해 평가항목 간 상대적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평가항목을 적용한 개별 예방서비스 에 대한 평가는 향후 생활안전 예방서비스의 확대를 고려하여 AHP 쌍대비교를 대신하여 리커트 척도 기반으 로 절대평가하고 그 결과를 상대비교하는 방법으로 개별서비스 간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한다. 연구결과: 생활안전 예방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가중치를 도출하고, 이를 생활안전 예방서비스의 인공지능 예측모델을 통해 산출된 개별위험지수에 반영하여 종합지수를 산출하였다. 결론: 구현한 모델의 적용을 위하여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앱과 플랫폼 으로 구성된 테스트 환경을 구축하고, 사용자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기능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생활안전지 수는 사용자에게 현재 자신의 안전수준을 종합하여 나타냄으로써 안전 위험에 진단과 대응 및 예방 골든타임을 지원하는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생활안전 예방서비스의 주요 내용
사용자 앱 서비스
플랫폼 기술
생활안전지수의 개념
생활안전지수의 정의
생활안전지수의 이론적 배경
참조연구
기존 연구와 차별성
생활안전지수 모델 설계
기준 산정
계층 구조 설계
계층 구조 고도화
모델 적용
설문평가 및 중요도 산출
생활안전지수 구현 및 검증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정보

  • 오혜수 Hye-Su Oh. Senior Researcher,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Seongnam, Republic of Korea
  • 이동훈 Dong-Hoon Lee. Principal Researcher,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Seongnam, Republic of Korea
  • 정종운 Jong-Woon Jeong. Principal Researcher,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Seongnam, Republic of Korea
  • 장재민 Jae-Min Jang. Senior Researcher,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Seongnam, Republic of Korea
  • 양상운 Sang-Woon, Yang. Team Manager,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Seongnam,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